댐식과 수로식의 혼합형이고 댐 또는 수로에 의하여 낙차를 얻는 방식의 수력 발전소. 구조물의 배열 순서는 댐 -취수구 -압력도수관 -서지 탱크 -수압관 -발전소 -방수로 -방수구.
댐에 있어서 기초부분을 제외한 양 기슭을 합친 부분을 말한다. 시공에 임해서는 표면이 풍화된 지층을 떼어 없애는 등의 처리공사가 필요하다.
댐 용량에는 목적과 상태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다.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용량을 유효 저수량, 이용 불가능한 용량을 사수(死水)용량, 오랜 세월에 걸쳐 댐에 유입하는 토사를 받는 용량을 퇴사(堆砂) 용량이라 하며, 이들 종합을 총저수량이라 한다. 유효 저수량은 목적에 따라 홍수 조절 용량. 발전 용량, 용수 보급 용량으로 된다. 다목적 댐의 경우 목적에 따른 각 용량은 공용이 가능한 부분은 공용되고 공용이 불가능한 부분은 전용 용량으로서 설정되
이 시방서는 현장에 플랜트(plant)를 설치해서 대량의 콘크리트량의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댐의 시공에 대한 일반의 표준을 나타낸 것이다. 콘크리트량이 적은 소규모 댐에서 레미콘을 사용할 경우에는 KS 래디믹스트 콘크리트(ready mixed concrete)에 의하지 않으면 안된다.
댐에 의하여 하천을 막아 저수지를 만들고 높아진 수위차(낙차)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식.
하천을 둑으로 막아서 만든 댐에 의하여 높혀진 수위(낙차)를 이용하는 방식의 발전소. 발전소는 댐에 접근시켜 만든다. 구조물의 배열 순서는 댐 -취수구 -(짧은 수로) -수압관 -발전소의 수차 -방수로 -방수구.
댐의 식옹은 본댐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본댐의 하부, 보조댐, 측벽, 물받이, 본댐의 상부순으로 한다.
개발 계획이 검토 결과 기존의 댐을 더 높여 저수지를 크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이 얻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댐의 높이를 높이는 것을 댐의 증축 공사라 한다. 증축에 있어서는 저수지나 댐 기초의 지질이나 지형의 상황이 충분히 조사되는 것은 물론 증축이라고 하는 특수 조건하에서 댐이 안전하다고 하는 사실이 확인된다. 콘크리트 댐의 경우 댐 하류측에 콘크리트를 추가로 타설하는 경우가 많은데 설계에서는 신구 콘크리트의 온도 상황, 하
댐이 수압 등의 외력 작용을 받아 댐의 본체에 생기는 휘어짐. 댐의 휘어짐은 댐의 거동 중 비교적 단순하게 측정할 수 있는 외부 변형의 하나이므로 이것을 이용하여 댐의 이상 유무를 탐지하고 안전 관리나 설계 조건의 재검토 등에 제공된다. 이 측정에는 정밀 3각 측량 시준법. 경사 측정. 연추(鉛錘)에 의한 방법 등이 이용된다.
댐 형상의 기준이 되는 면. 일반적으로 댐 정상의 상류 가장자리가 되는 선을 포함하는 연직면을 댐축이라 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댐 정상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연직면을 댐축이라 하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