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 전동기의 일종. 2매의 링 사이를 여러 줄의 축방향 막대로 연결한 농형의 도체 구조 회전자를 갖는 것.
지방풍의 일종으로 원래는 알프스 골짜기를 향하여 부는 따뜻하고 건조한 바람을 말한 것이었으나, 최근에는 산기슭으로 불어 내려오는 고온 건조한 바람을 일반적으로 높새바람이라고 하며, 푄이라고도 한다.
습윤한 공기가 산맥을 넘을 때 산허리를 따라 상승하게 되면, 점점 냉각 응결되어 비를 내리게 되며, 이 바람이 다시 반대측의 산기슭을 내려 불 때에는 단열압축을 하게 되므로 기온이 상승하고 습도는 저하되어 건조한 바람으로 변하게 된다. 우리나라의 동해안에서도 볼 수 있다.
1일 2회 있는 고조 중에서 더 높은 고조를 말하며, 고고조라고도 한다.
1일 2회 있는 저조 중에서 더 높은 저조를 말하며, 고저조라고도 한다.
그라우트 블리딩 및 팽창률 시험 방법의 일종. 내경 99mm, 높이 120mm의 압개관(押蓋罐)속에 그라우트를 넣고 포인트 게이지로 그라우트의 블리딩 및 팽창을 측정한다. - grout, bleeding
도화선의 열로 폭약을 기폭(起爆)시키는 도화선의 끝에 연결되고 폭약 속에 삽입된 관. 뇌관에는 다음과 같은 것 등이 있다. [1] 공업 뇌관 : 내경 6.2 mm의 원형 바닥의 동관에 주로 뇌홍(雷汞) 또는 테트릴과 폭분을 채운 것. [2] 전기 뇌관 : 공업 뇌관에 전기적 점화 장치를 넣은 것(다음 면 그림 참조).
금속제 용기 속에 뇌홍(雷汞)과 염소산칼륨을 주로 한 약품을 잰 것 [화약이나 폭약에 점화하기 위하여 쓰임]
수은을 질산으로 용해시키고, 에틸알코올을 넣어서 만든 화합물. [조그만 자극에 의하여 폭발하기 때문에 기폭제로 쓰임] 뇌산수은
압기공법에 있어서 갱내 또는 잠함(caisson)내에 봉입한 압축공기가 새는 것을 누기라고 한다. 막장의 절단면, 쉬일드 테일, 세그먼트의 틈, 로크의 개폐 등으로 원지반에 누기된다. 누기량은 지반의 투기성, 압기압(압축공기압력), 지하수위의 유무, 투수층의 유무에 등에 따라 달라지게 되나 쉬일드 공법에서는 누기와 로크(lock)의 개폐에 의한 공기소비를 합하여 QαD2(Q : 공기소비량, α : 토질에 의한 계수 3.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