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층 노반의 다지기에서는 수정 CBR 20이상의 현지 재료를 유용하는 일이 많고 전압기계에는 재질에 따라 진동 로울러를 병용할 경우가 있다. 상층 노반재로는 낟알이 고루 갖춘 깬 자갈이 주로 쓰이는데 8∼15t의 타이어 로울러와 10t 이상의 머캐덤 로울러를 조합한 다지기가 많다.
아스팔트 포장에 대한 노반 두께의 결정에는 먼저 교통량의 구분을 하고, 이 구분에 해당하는 TA값 및 표층과 기층의 최소 두께를 구해서 노반재에 역청 안전처리와 시멘트 안정처리 공법을 채택한 경우 등을 경제적으로 비교를 해서 노반 두께를 결정한다. 시멘트 아스팔트 포장에 있어서는 노상의 지지력계수로 노반 두께를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노반이 두꺼울 경우에는 상층 노반과 하층 노반으로 나누어서 다음과 같은 재료가 사용된다. 하층 노반재료 - 시공현장 가까이에서 경제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재료로서 CBR가 20이상의 재료, 상층 노반재료 - 낟알을 고루 갖춘 재료 또는 낟알 모양의 재료에 역청 안정처리나 시멘트 안정처리 공법 등을 부가한 것
노반재료의 입경은 하층 노반에 사용하거나 상층 노반에 사용하는가에 따라 사용하는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달라진다. 하층 노반 재료의 최대 입경은 50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부득이한 경우에는 1층 마무리 두께의 1/2로 하는데 또한 100mm 이하라야 하고 모두가 소정의 입경분포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층 노반 재료의 최대 입경은 40mm 이하로 해서 소정의 입도분포를 지녀야 한다.
아직 굳어지지 않은 콘크리트 중의 시멘트 풀이 노면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콘크리트판 저면과 노반면 사이의 마찰 계수를 작게 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부어 넣기 전에 노반면에 까는 종이.
노상은 포장을 지지하는 기초가 되는 노반 이하 1m의 흙 부분을 말하는데 연약하기 때문에 바꾸거나 또는 개량을 할 부분도 포함한다. 그 지지력의 판정에는 평판 재하시험 또는 CBR 시험을 한다.
도로에 있어서의 포장의 밑두께 약 1m의 흙부분을 말하며, 흙쌓기부에서는 흙쌓기 마감면으로부터, 터파기부에서는 굴착면으로부터 약 1m의 부분이 이에 해당한다. 노상의 흙이 노반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층, 연약 지반에서 노상토의 치환 부분 등도 노상에 포함된다. 포장이 파괴되지 않고 그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포장뿐만 아니라 그 하부에 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충분히 주의할 필요가 있으며, 노상은 포장의 두께를 결정하는 기초가 된다. 노
노상에 있는 각종 시설. 전기 통신 시설, 도로 표지, 가드 레일, 간판, 버스 정류장 등.
도로상에 주차하는 것을 말한다. 도로 외에 주차하는 경우는 노외 주차라 한다. on-street parking
노상에 주차를 위해 구획된 구역. 주차 미터나 티켓 주차장 등 원칙적으로 단시간 주차에 대응한다. - off-street parking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