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살아가는데 없어서는 안되는 식품의 근원은 농산물이며 이를 안정적으로 생산하여 공급하기 위한 식량정책은 각국 정부의 중요한 정책중 하나이다. 따라서 정부뿐만 아니라 민간 차원에서도 품종, 재배환경, 농자재를 포함한 재배기술 등을 개선하고 발전시키려는 각종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그중 농약은 농작물에 해를 주는 병해충을 방제함으로써 생산량을 높이고 잡초방제에 필요한 노력을 줄여 생산비를 절감하는 등 안정적인 농업생산을 이끌어 가는데 없어서는 안될 농업자재로서의 역할을 맡고있다.
만약 농약이 개발, 보급되지 않아 오늘날 농업에 사용할 수 없다면 그 결과는 어떠할까? 틀림없이 각종 병해충과 잡초가 늘어나 농작물의 수확량은 급격히 감소되어 극심한 농산물 부족사태를 초래할 것이며 30%도 안되는 식량자급률은 더 떨어지고 부족한 농산물을 수입하기 위하여 막대한 외화를 낭비해야 할 것이다.
또한 농업인들은 또다시 뜨거운 땡볕 아래서 잡초를 뽑아야 하는 등 힘든 노동을 피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농촌의 일손부족은 더욱 가중되어 농촌 경제는 심각한 위기를 맞게 될 것이다
◇ 살균제 (Fungicide) : 균을 죽이거나 억제하는 약재로 식물체 침투를 막는데 쓰이는 보호살균제, 식물내 침입한 세균을 죽이는 직접살균제 등이 있다.또 사용대상에 따라 종자소독제, 토양소독제로 나뉘기도 한다
◇ 살충제 (Insecticide) : 곤충의 먹이가 되는 부분에 약제를 뿌려 줄기나 잎을 갉아먹는 해충으로 하여금 먹이와 함께 소화기내로 독성분을 흡수시켜 살충력을 나타내는 독제(stomach poison), 약제를 곤충의 피부에 접촉, 흡수시켜 죽게 하는 접촉제(contact poison), 약제를 식물체에 처리, 침투시켜 식물의 즙액과 함께 식물 전체에 퍼지게 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침투성살충제(systemic insecticide), 유효성분을 가스로 해서 해충을 방제하는 훈증제(fumigant)와 연기상태로 쓰는 훈연제(smoking agent), 해충을 유인해서 죽이는 유인제(attactant)가 있다.또 농작물이나 기타 저장물에 해충이 모이는 것을 막기 위해 쓰이는 기피제(repellent) 외에도 점착제, 불임제가 있고, 해충의 천적을 이용하는 생물농약(biotic pesticide)도 포함된다.
◇ 살비제 (Acaricide) : 이 약제는 선택성을 지니고 있어서 곤충류에 대해서는 살충효력이 거의 없고 응애류에 대해서만 효력을 나타내는 약제
◇ 살선충제 (Nematocide) : 식물의 뿌리에 기생하는 선충을 방제하기 위해 쓰여지는 약제
◇ 살서제 (Rodenticide) : 농림업상 해를 주는 쥐, 두더지 및 기타 설치류의 방제를 목적으로 쓰이는 약제
◇ 제초제 (Herbicide) : 작물의 생육을 방해하는 잡초의 방제에 쓰이는 약제로 제초기능 면에서 식물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해를 나타내는 선택성제초제와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식물에 해를 나타내는 비선택성제초제로 구분
◇ 보조제 (Supplemental agent) : 다른 약제의 전착력을 좋게 하거나 양을 늘려서 농도를 낮추거나 효력의 증진 등을 목적으로 함께 쓰이는 약제
◇ 식물생장조절제 (Plant growth regulator) : 식물의 생장을 촉진 또는 억제하는데 쓰이는 약제
화학구조상으로 농약은 무기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무기농약과 유기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기농약으로 구분되며, 유기농약은 다시 천연유기농약과 유기합성농약으로 나뉜다.
[천연유기농약]은 식물의 구성물질중의 살균이나 살충성분을 농약으로 이용한 것으로서 제충국의 pyrethrin, 담배중의 니코틴 등이 있다
[유기합성농약]은
◇ 유기인계 농약 (Organophosphorous pesticides)
현재 사용되는 농약 중에서 가장 많은 부류를 차지하는 농약이며, 인(P)을 중심으로 각종 원자 또는 원자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결합된 산소(O) 및 황(S)의 위치 및 수에 따라 분류
◇ 유기염소계 농약 (Organochloride pesticides)
이 부류의 농약은 구조 중 염소(Cl)가 많이 함유된 농약을 말하며, BHC와 같이 환상구조를 가지는 것과 DDT와 같이 에탄(ethane)의 유도체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분류
◇ 카바메이트계 농약 (Carbamate pesticides)
카르밤산(carbamic acid)을 주된 골격(-O-C-NH2)으로 하여 여러가지 원자나 원자단이 결합하여 합성된 농약
◇ 유기황계 농약 (Organosulfur pesticides)
유기질소황계 농약이라고도 부르며, dialkylamine계 화합물과 alkylenediamine계 화합물로 분류
◇ 유기비소계 농약 (Organoarsenic pesticides)
비소를 함유하고 있는 유기농약으로 구조는 R-As-X2로 R은 방향족(aromatic) 또는 지방족(aliphatic) 화합물
◇ 기 타
상기 외에도 유기불소제(Organofluorine), 유기주석제(Organotin), 트리아진(Triazine)계, 페녹시(Phenoxy)계, 우레아(Urea)계 등이 있다
사람과 가축의 중독피해(농약산업 종사자, 취급자, 사용자), 식품의 오염(농산물 중 잔류농약), 환경오염(토양,하천수, 지하수, 대기), 생태계 생물독성(어패류, 익충, 천적, 조류, 지렁이 등)이 있다
농업에 전문적으로 사용하는 물을 말하며,농업 용수 중에 카드뮴이 용존할 경우 피해가 크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 수은이나 기타의 유해 물질의 용존도 문제가 되며, 농작물에 피해를 입히는 피해 물질의 한 가지로 과잉 질소가 있다. 밭에 농작물을 심은 후 60일 정도는 농업 용수 중에 질소가 12ppm정도, 그 후에는 6ppm정도 용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분뇨(糞尿) 처리장의 방류수, 하수, 식품 공장 배수 등이 농업 용수로 침입할 경우, 질소과잉 현상이 야기되어 피해를 준다.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
agricultural land
농지를 택지 등 농업 생산 이외의 용도로 전용하는 것.
농촌에 있어서의 경제, 사회, 환경 등의 기본적 틀, 제시설의 체계, 토지 이용의 구상 등을 나타내는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