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속의 철근이 사용 재료 중에 포함되는 염화물에 의해 부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혼합제.
금 속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약제. 특히 바다모래 사용 콘크리트 중에 혼합하여 철근의 부식을 방해하기 위한 것을 철근 녹방지제라 한다.
조류 중 1군으로서 녹색을 띠며, 동화작용에 의하여 전분을 생성하여 저장한다. 유성 또는 무성생식이 있다. 클로렐라와 같이 사상 또는 지상으로 퍼져 나가는 다세포를 가진 것 등 여러 종류가 있다. 하천이나 도수로, 여과지 등에 번식하여 수로를 방해하고 착색, 발취, 막힘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염소나 황산구리 등의 살균제에 강한 종류가 많아 주의해야 한다.
해조류 분류학상 한 문으로서, 엽록소 a·b 외에 카로티노이드 색소가 들어 있다. 색소체는 흔히 녹말형성 체인 피레노이드를 가지고 있으며, 광합성으로 녹말을 만든다. 녹조식물로는 약 1만 종이 알려져 있으며, 그 중 약 90%가 민물산, 10%가 바다물산이다. 파래·청각·매생이 등이 대표적인 녹조식물이다.
green
건축물이 차지한 토지 및 교통 용지를 제외한 비건평지. 일반적으로 녹지라 하면 공지(空地)를 의미하며 공원, 광장, 사찰 경내지, 하천, 호소(湖沼), 해변, 산림, 농지 등 주로 자연물로 구성된 토지를 총칭한다. 도시 계획에 있어서 도시의 과밀화를 방지하기 위한 계획 초기 단계에 있어서의 소위 녹지 계획이 중요하다.
띠 모양으로 되어 있는 녹지의 총칭. 목적, 스케일(크기의 정도) 등에 의해 두 가지의 다른 의미를 갖는다. [1] 도시 계획적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 : 대규모의 녹지대를 의미한다. 이것은 대도시의 팽창을 억제하는 동시에 도시 환경의 개선, 공지의 확보, 레크리에이션 부지의 확보 등을 위한 것이다. 계획적으로는 녹지 계통이라 부르며, 환상(環狀)과 쐐기상이 있고, 런던, 베를린, 모스크바, 워싱턴 등의 외국에 그 예가 많다.(그림 참조) [2]
공원, 묘지, 생산 녹지, 차단 녹지, 풍치 지구 등의 녹지를 도시 계획에 의해서 영속적으로 공지로 하고, 건축물 등을 만들지 않는 것. green space conservation
지역제에 의한 녹지 혹은 녹지 계획이라 부를 수 있다. 녹지 계획은 영조물(營造物) 계획에 의한 것(도시 공원등)과 지역제 계획에 의한 것으로 나누어진다. 후자를 실현하는 수법을 총칭하여 녹지 지역제라 한다. 녹지 지역제의 내용에는 도시 계획면에서 풍치 지구, 녹지 보전 지구, 생산 녹지 지구 등이 있으며, 대도시권 계획 혹은 지방 계획적인 것으로는 수도권의 근교 녹지 보전 구역이나 근교 녹지 특별 보전 지구가 있다. 또는 역사적인 풍토 보존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