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1169/1604)

지진시에 벽에 작용하는 토압.
옹벽 등의 항토압(抗土壓) 구조물에 채용하는 지진시의 토압. 실측예가 거의 없으므로 그다지 해명되어 있지 않다.
기공에 앞서 대지 내에 제장(祭場)을 설치하고, 대지, 공사, 건축물의 평안을 비는 의식.
지진에 의한 충격으로 진원 또는 진앙에서 사방으로 퍼지는 파동을 말한다. 지진파는 성질이 다른 P파(종파), S파(횡파), L파(장파)의 3가지 파동으로 구성된다. P파는 종파로서 매질의 진동방향은 파의 진행방향과 평행하며 고체·액체·기체의 매질을 통과한다. S파는 횡파로서 매질의 진동방향은 파의 진행방향과 수직이며 고체의 매질만 통과한다. L파는 표면파로서 혼합파이며, 물체의 계면을 통과한다. 지진파는 매질의 성질이 달라지면 속도가 변하고 따라서 굴절하게 된다. 그리고 지진파 중 진원에서 전해지는 것은 종파 및 횡파이고, 진앙에서의 것은 표면파이다.
지진에 의해 지구 내부에 생기는 파동. 실체파와 표면파로 나뉘며, 실체파는 P파와 S파로 나뉜다. P파는 소밀파. 종파(縱波)이며, S파는 전단파. 횡파이다. 표면파에는 레일리파(Rayleigh wave)와 러브파(Love wave)가 있다. 구조물에 피해를 주는 수평 지동 성분은 S파인 경우가 많다. P파가 도달하고부터 S파가 도달하기까지를 초기 미동이라 하고, S파 이후를 주요동(主要動)이라 한다.
진원에서 나온 지진파(탄성파)에는 종파(P파)와 횡파(S파)의 두 종류의 파동이 있다. 토목 분야에서는 인공적으로일으킨 탄성파인 P파의 암반 및 암편(岩片)의 전파 속도로부터 암반의 강도, 안정성, 지질의 양부를 추정하고 있다. 한편, S파는 P파에 비해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취하기가 곤란하며, 또한 인공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과거에는 이용되지 않았으나 유체 속을 전파하지 않으므로 함수(含水) 연약층 등의 조사에는 유효하며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탄성파 속도와 물성과의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수도시설의 기준에 따라 지진하중은 스스로의 무게 및 적정하중에 설계진도를 곱해서 구한다. 지역별 표준 수평진도와 지질의 종류 및 시설하는 종별에 따른 설계진도의 비율을 곱하여 설계진도를 구한다.
지각변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진의 구조물에 대한 작용력을 말하며, 지진이 심한 지방 또는 지진에 민감한 구조물은 지진에 견디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해저지진이나 화산폭발에 기인하는 장파의 특징을 가진 긴 주기의 파를 지진해파라 하며, 율파라고도 한다. 심발성 지진은 해저의 지각변형량이 적기 때문에 큰 지진해파를 발생시키지는 않는다. 지진해파는 M≒6.5 이상의 지진이 약 85km까지의 깊이에서 일어났을 때 발생하며, 그 속도는 √(gh)로 전파된다. 여기에서 g는 중력가속도, h는 수심이다.
터널을 굴착하는 곳의 암반이나 흙은 강도 및 균열에 의해서 분류하고 있다. 발주체에 의해서 다르나 강도가 큰 것부터 A, B, C, D 혹은 Ⅰ, Ⅱ, Ⅲ, Ⅳ와 같이 나눈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