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용 하중 선정을 할 때 쓰이는 계수로, 지역의 특성을 가미한 저감 계수이다. Z로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하중의 평가를 함에 있어 지역에 의한 발생 빈도의 차를 계수의 모양으로 나타낸 값. 비교적 빈도가 높은 지역을 1.0으로 하고, 낮은 지역을 저감하는 모양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국가의 한 지역, 한 방면에 대해 하는 경제, 사회, 문화 등의 종합적 계획. 이외에도 지역 계획이라는 말은 [1] 지역적 공간에 관한 계획 [가구(街區), 지구, 도시, 지방 등의 전체의 계획이 여기에 해당한다.], [2] 지구 내지 지역의 계획(커뮤니티 계획 등), [3] 대도시권 계획 등의 의미로도 사용된다.
국토, 지방, 도시 등의 공간 구조의 분석이나 토지 이용 계획의 책정을 위해 동질적. 일체적인 단위 지역으로 구분하는 것을 말한다. demarcation
지역에 대한, 지진 등을 대상으로 하는 종합 위험도.
도시의 일정 지역 내를 도시 계획법에 의해 몇 개의 지역으로 분할하고, 경계와 토지의 이용 제한을 정한 구역.
도시 계획에서 도시의 토지 이용을 합리적으로 증진하기 위해 각종 지역을 지정하는 것. 지역별에 따라 건축 부지의 비율이나 높이의 기준, 구조 등이 제한된다.
네트워크(network) 수법의 용어. 어떤 액티비티(activity)가 처리되고 있을 때 종종 현장에서 필요한 맨파워(manpower)의 합계가 풀(full)의 제한을 넘은 경우, 일단 작업을 중단하여 맨파워를 다른 액티비티로 옮겨 사용한다. 그 결과 작업의 중단에 의해 생긴 지연을 딜레이라 한다. 또다시 맨파워에 여유가 생겼을 때 2번째의 스타트(start)가 행해진다.
체결한 고력 볼트나 PC강봉이 어느 시간 경과한 후에 특별한 응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파단하는 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