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1166/1604)

지반, 말뚝 등이 지지할 수 있는 최대 하중 또는 하중 강도를 말한다. 극한 지지력이라고도 한다.
지점(支點)이 하중을 지탱하는 힘으로, 지반, 지지, 말뚝 등에 대해 말한다. supporting force, bearing capacity
(1) bearing capacity (2)구조물에 하중을 일정한 비율로 점증하여 작용할 때의 붕괴 하중에 상당하는 값. 구조물은 붕괴 하중 크기의 하중까지는 지지하는 능력을 갖는다.
지반의 지지력을 구하는 계산식에 있어서의 무차원양의 계수. 내부 마찰각으로 정해진다.
말뚝. 케이슨 등의 극한의 지지력을 산출하기 위한 계수. 지반의 점착력, 흙의 단위 체적 중량, 내부 마찰력 등에 의해 구해지는 것이다.
물건을 받치는 점.
구조물의 하중을 연직, 수평 방향 및 회전 등에 대해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양호한 지반. 일반적인 경우 암반이나 자갈층 외에 N값이 30 이상인 사질토, N값이 20 이상인 점성토로서 기초폭의 1.5배 이상의 충분한 두께가 있으며, 또한 3배 이내에 압밀층이 없다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또 평상시에 충분한 지지력이 있어도 지진시에 유동화할 가능성이 있는 지반은 지지층으로 할 수 없다. 직접 기초처럼 구조물을 직접 지지하는 경우는 지초의 바닥면 아래에 있는 지반을 지지층이라 하며, 말뚝 기초나 케이슨 기초처럼 개재물로 구조물을 지지하는 경우는 그 개재물의 선단 지반을 지지층이라 한다.
지구 내부의 급격한 변동이 진동으로 되어 사방으로 전해지는 현상을 지진이라 한다. 지진은 지각이 불안정한 곳에 많으며, 화산대(환태평양화산대, 알프스-히말라야화산대)및 조산대(환태평양지대, 지중해-히말라야지대)와 거의 일치한다. 지진은 진원의 깊이에 따라 심발지진(깊이 300~700km), 중발지진(깊이 60~300km), 천발지진(깊이 65km미만)으로 구별하는데, 지진의 대부분은 천발지진이고 심발지진은 태평양주변과 서인도제도에서만 알려져 있다. 지진의 발생 원인으로는 탄성 반발설과 마그마 관입설이 있다. 탄성반발설은 지각을 구성하는 암석이 어떤 힘에 견딜 수 없게 되면 파괴되고, 이 때 지진이 일어난다는 설이며, 마그마 관입설은 마그마의 관입이 급격히 일어나면 지진이 일어난다는 설이다.
지각 내의 어느 부분에 자연히 일어나는 급격한 변동에 의해서 탄성 파동이 발생하여 사방으로 전파하는 현상.
댐의 안정을 계산에 의해 검토하는 경우에 지진의 영향을 계산에 포함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댐의 자체 무게에 비례한 힘이 댐에 수평으로 작용한다고 생각하여 이 힘을 지진 관성력이라 부른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