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면에 기입된 선이나 문자를 지울 경우 관련된 다른 부분을 지우지 않도록 지워야 할 부분위에 대고 사용하는 급속제 또는 셀루로이드제의 얇은 판.
지구자기라고도 하며, 지구와 지구주위에 나타나는 자석 성질을 지자기라 한다. 지자기가 미치는 지구 주위의 영역은 지구자기장이라 한다. 지구는 지구중심부에 지구 회전축과 거의 평행(11.5경사)하게 놓인 영구자석과 같은 자성을 띠고 있다. 지자기를 관측할 때는 보통 다음의 3요소 나침반이 가리키는 지자기북극과 지구북극과의 차이각(편각) 지구상의 어느 점에서 지구자기장의 방향과 그곳의 수평면이 이루는 각(복각) 지자기의 강하기인 전자력의 수평분력(수평자력)을 관측한다. 지자기의 생성원인은 지구 핵의 맨틀에 대한 상대적 운동과 핵 내부의 열대류에 의한 자기발전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지자기는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그 변화는 지하가 자기적으로 균질일 경우 규칙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만일 그 지역의 지자기 세기 및 분호에 이상이 있다면, 이는 지하암석의 투자율이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자기의 관측으로 지자기 이상을 발견한다면, 이로부터 자화율이 큰 암석인 자철광, 자황철광 등 광물의 존재나 지하구조 탐사가 가능하다.
지자기에 의한 자성 상태를 나타내기에 필요한 3요소를 말한다. 편각, 복각, 수평자력을 지자기 3요소라 한다. 어떤 지점의 지자기 3요소를 알면 그 지점의 지루자기장을 파악할 수 있다. 편각과 복각은 각도로, 수평자력은 gauss단위로 표시한다.
지자기가 공간 및 시간적으로 평균 분포 및 변동에서 벗어난 양상을 말하며, 이는 암석 및 광물의 자기적 성질 차이 때문이다. 따라서 지구자기 이상은 지각구조나 광물자원의 탐사에 이용된다.
토지 대장에 등기되어 있는 토지 1필지마다의 속성으로, 그 토지의 지번, 지목, 지적(地積), 소유자 등을 가리킨다.
지적 측량에 있어서의 세부 측량의 기준점(기준 3각점 또는 기준 다각점)을 설정하기 위한 측량으로, 소규모의 골조 측량.
지적 측량에서 4등 3각망(四等三角網)보다 더 낮은 차원의 3각망을 작성할 때의 3각점. 지적도 작성의 기준이 된다.
지적도의 골격이 되는 다각점. 기준 3각점. 기준 다각점. 보조 3각점. 도근 3각점 등을 출발점 또는 결합점으로 한 트래버스 측량의 측점. 계획을 세울 때 제1차 노선(적색), 제2치 노선(녹색), 제3차 노선(보라색), 세부 다각 노선(검정색)으로 하고 있다.
지적 도근점에 기초하에 필계점(筆界點)의 위치를 정하는 측량. 필계점 복원의 정밀도 목표를 15 ~ 20cm로 잡고 있기 때문에 필계선의 변길이가 대부분 수십 m임을 감안하면 평판 측량이 가장 적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