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왕의 피해 지진의 통계에서 재현 연수에 따라 예상할 수 있는 지진동의 기대값을 가속도나 속도의 등치선(等値線)으로 지도상에 나타낸 그림. 지진 지역 계수를 정하는 자료로서 쓰인다.
어떤 지역에서의 지진 발생의 빈도. 과거에 있어서의 지진 발생의 상황(규모, 장소, 때)에 입각하여 정해진다.
지진동을 자동적으로 기록하는 기계. 감쇠를 준 흔들이식의 것이 대표적이다. 가속도, 속도, 변위 등을 기록한다. seismometer
지진에 의해 운동을 일으킨 단층 또는 지진을 발생시킨 단층.
지진이 집중하여 발생하고 있는 띠 모양의 지역. 예를 들면 환태평양 지진대 등.
지진에 의해서 지반에 생기는 진동.
지진에 의한 지면의 움직임. 지진 파형으로서 지진계에 의해 기록된다.
지진의 동적인 동요를 정적으로 평가하여 설계하중으로서 쓰는 힘.
해저지진이나 화산폭발에 기인하여 발생한 지진해파가 해안에 가까워지면 속력이 줄어들면서 물이 쌓이게 되고 파고가 갑자기 높아져서 육지에 큰 피해를 주게 되는데, 이를 지진성해일 또는 쯔나미라 한다. 지진해파는 심해에서는 파장과 비교하여 파고가 작아 눈에 잘 띄지 않지만, 해안 근처의 얕은 곳에서는 갑자기 커져서 해안을 내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