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투과 수제의 하나로, 수제 위을 물이 월류해 가는 것. 물 스프링 효과는 현저하지만 세굴을 받기 쉽다.
수위가 어떤 한도 이상이 되면 자연 배수가 되도록 설치되는 관. 수조. 저수지. 여과지 등에 사용된다.
제방의 일부를 낮게 하여 어떤 수위 이상의 홍수를 월류하도록 한 것. 제방의 구조는 월류에 견딜수 있는 것으로 하고 방류하는 곳은 제방이나 고대(高臺)로 둘러싸인 특정한 지역이다.
노동재해의 발생빈도를 나타내는 지수인데 한달 동안에 재적 노무자 10,000명당의 재해건수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식에 의해서 계산한다. 월만인률 (월간 재해건수/월간 평균 노무자수)×10000
홍수가 제방 위를 넘지 못하게 하거나 월수에 의한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공법. [1] 직접 공법 : 적토표공(積土表工). 돌망태 공사, 거푸집 판공사, [2] 간접 공법 : 이연장공(裏筵張工).
지구가 달과 태양 사이에 위치하여 달의 일부 또는 전부가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져 지구에서 본 달의 밝은 뿐이 일부 또는 전부가 어둡게 보이는 현상으로, 만월일 때에만 일어난다. 그러나 만월일 때 반드시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달의 궤도면의 백도면이 지구의 궤도면인 황도면과 약 5°기울어져 있으므로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상에 놓일 기회가 적기 때문이다.
백도와 황도가 교차하는 교점은 두 개 있는데 그러한 교점 근처에 태양이 있을 때 일식과 월식이 일어나는데, 1년에 2회가 된다. 일식이 월식보다는 자주 일어나지만 일식은 지구상의 극히 한정된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반면, 월식은 지구의 밤인 곳 어디에서나 볼 수 있기 때문에 훨씬 자주 관측된다.
월식에서 달이 완전히 지구의 본 그림자에 가려지는 현상은 개기월식이라 한다.
둑을 넘어서 들어오는 물결의 양이다. 월파량에 대한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도 알지 못한 점이 많다. 똑같은 경사의 바다 밑이나 수심, 직립벽의 높이, 내습하는 물결등에서 산정한다.
I형. H형 등의 부재로 플랜지를 잇는 부분. 휨 재료에서는 주로 전단력을 담당하는 구실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