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구조물 혹은 기타의 물체가 파괴 혹은 과도한 변형과 같은 위험한 상태로 되는 확률. (2) 설정한 한계를 넘어서 어떤 사상(事象)이 발생하는 확률.
위험의 정도 혹은 위험성이 생기기 쉬운 정도를 확률 통계적 수법에 의해 정량적으로 표현한 것. risk
구조물의 위험도를 하중 및 내력의 모델화에 입각하여 확률 통계적 수법에 의해 정량적으로 구하는 것.
발화성 또는 인화성이 있는 물품, 및 이들의 위험성을 촉진하는 물품.
동심원인 태풍권내에서 진행방향으로 북반구의 우측부분은 풍향과 태풍의 진행방향이 일치하는 까닭에 풍속과 파고도 크고 선박의 항행이 위험하여 위험반원이라 한다.
수위 연표에서 동일 계급의 수위가 일어난 횟수를 알고 어떤 수위와 그 수위 이상의 수위가 일어난 횟수와의 관계. 즉 위황표를 작성하여 그것에 따라 어떤 수위와 그 수위 이상의 수위가 일어난 횟수와의 관계를 각각 가로축, 세로축에 취하여 그린 도표상의 곡선. 수위 게속 곡선이라고도 한다.
수위 연표에서 동일 단계의 수위가 일어난 횟수를 알고 어떤 수위와 그 수위 이상의 수위가 일어난 횟수와의 관계를 각각 세로축, 가로축축에 취하여 그려진 도표상의 곡선(주상도는 완만한 곡선). 수위 계속 곡선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