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면에 원통형으로 필터를 둔 직경 5 ~ 8cm 이고 길이 30 ~ 100cm 임 파이프로, 웰 포인트 배수 공법에 사용한다.
주로 모래질 지반에 유효한 배수 공법의 하나이다. 웰 포인트라는 양수관을 다수 박아 넣고, 상부를 연결하여 진공 펌프와 와권(渦卷) 펌프를 조합시킨 펌프에 의해 지하수를 강제 배수한다. 중력 배수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 널리 쓰이는데, 1단의 양정이 7m 정도까지이므로 깊은 굴착에는 여러 단의 웰 포인트기 필요하게 된다.
웰 포인트라고 불리는 집수관을 지하수면하에 박아 넣고, 이것을 감압하여 지하수를 흡수해서 배수하는 지하 수위 저하 공법.
지름 5cm 길이 1m 정도의 웰 포인트라는 吸水具를 先端에 부착한 라이저 파이프(riser pipe)를 연약층 중에 삽입하여 眞空 펌프로 하여금 틈사이의 물을 탈수시켜 압밀을 촉진한다. 처음에는 지하수의 저하에 이용되었으나 함수비가 높은 점성토에서는 압밀에 의한 지반개량에 유익하다.
지하수위를 저하시키기 위한 공법의 일종이다. 직경이 5∼7cm, 길이는 5∼7m의 집수관 끝에 1m정도의 양수기(well point)를 붙여서 이것을 지름이 약 15cm정도 되는 헤드 파이프(head pipe)에 접속시켜 진공펌프와 후우거 펌프(purgerpimp)에 의해서 배수하는 공법이다. 이론적으로는 10.3m의 수위를 저하시킬 수 있다하나 실제는 가장 큰것으로서 5∼6m 정도이다. 1포인트당의 양수량은 35∼45ℓ/min 정도가 알맞다.
해머 중량, 해머 낙하 높이, 말뚝의 관입량 등에서 말뚝의 동적 극한 지지력을 산정하는 식.
트래버스 측량의 각 측점(測點) 위치는 NS와 EW를 양축으로 하는 직각 좌표축의 좌표값에 의해 나타낸다. 측선 AB의 위거란 A와 B에서 NS축에 각각 수선을 내렸을 때 NS선 위의 AB의 정사영 A1B1을 AB의 위거라 하고, AB의 EW선상의 정사영 A2B2를 측선 AB의 위거라 한다. 좌표값 BB1 및 BB2를 각각의 합경
경도와 함께 지구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로서, 지구의 표면에서 남북으로 적도에 평행하게 그은 선으로 표시되며 남북 90°씩 구분되어 있어 지구 표면상의 위도는 적도에서부터 측정한 지점까지의 각거리이다. 북쪽으로 잰 것을 북위, 남쪽으로 잰 것을 남위라 한다. 위도 1′은 거리상으로 약 1,852m이다.
[1] 자동차가 같은 방향으로 달리는 다른 자동차의 흐름을 서서히 비스듬하게 횡단하면서 어느 차선으로부터 다른 차선으로 이동하는 행위. 정체됨이 없는 안전하게 차선 변경을 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길이의 직입 구간이 필요하며, 교통량에 비해 직입 구간의 길이가 짧으면 교통 정체가 발생한다. 로터리식 교차는 직입을 이용한 교차점 처리의 전형적인 경우이다. [2] 아크 용접을 할 때 용접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용접봉을 좌우로 움직이면서 작업을 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