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획 급수량은 계획 용도별 사용 수량의 합을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이 결정한다. [1]계획 1일 평균 급수량급수량 산출 계수 × 계획 용도별 사용 수량의 합 [2]계획 1일 최대 평균 급수량계획 1일 평균 급수량 / 부하율. [3]계획1인 1일 평균 급수량계획1일 평균 급수량 / 계획 급수 인구. [4]계획1인1일 최대 급수량계획 1일 최대 급수량 / 계획 급수 인구. [5]계획 시간 최대 급수량시간 계수 × (계획1일 최대 급수량/24). 부
계획 고소 유량과 평균 유속에서 소요 단면적을 계산하여 결정한 단면. designed section
estimated amounts
관개 계획에 채용되는 용수량을 말한다. 보통 단위 시간의 유량 m3/sec 로 나타낸다.
도시 계획에서 가로, 공원, 광장, 운하, 주택지 경영 등의 계획 및 사업을 하는 경우의 표준이 되는, 그들의 시설의 규모나 배치 등에 관해서 정해진 최소한 또는 적정 기준.
댐의 설계에 이용되는 홍수량. 콘크리트 댐에서는 100년에 1회 생기는 홍수량을, 필 댐에서는 200년에 1회 생기는 홍수량을 계획 홍수량으로 하고 있다. 이 양이 댐의 여수토(餘水吐)나 홍수토에 의해 안전하게 흘러가도록 설계한다.
아직 실시되고 있지 않은 건축이나 도시 계획의 도면. 계획 초기 단계의 도면이나 실시하지 않기로 결정된 계획의 도면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schem drawing
plan drawing
설계도 등을 만들기 위한 기초가 도는 도면으로, 계획을 나타내고있는 도면. 설계자의 의도를 명시하기 위한 충분한 내용이 필요하다.
(해운법 제2조) 계획조선이라 함은 정부가 선정한 해운업자가 정부의 재정 또는 금융지원을 받아 선박을 건조하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