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로 판구조 등의 해석에 이용된다. 미분 방적식을 계차 방정식으로 치환하여 미분 방정식을 푸는 대신에 계차 방정식을 푸는 방법.
공사 시공 현장에서 계측을 병용하여 공사 중의 실재 구조물의 거동을 파악하여 안전하고 적절한 시공을 하는 것.
도로 신호기를 제어할 때 일련의 신호기 표시를 서로 관련시키는 신호계 방식으로, 동시 방식, 교대 방식, 진행 계통 방식으로 나뉜다.
하등한 생물로부터 고등한 생물까지 각 종의 유연관계를 나무모양으로 나타낸 그림을 말하며, 계통도를 통해 진화의 순서를 파악할 수 있다.
조직의 구성, 일의 흐름 등을 네트워크 등에 의해 시각적으로 표현한 그림, 급수. 배수. 전력 등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그림. system diagram
발생 원인을 알고 있는 오차. 이론 오차, 계기 오차, 개인 오차가 있다. 이론 오차는 이론적으로 보정할 수 있는 오차로 열팽창. 실온 등에 의한 오차. 계기 오차는 사용하는 계기에 원인이 있어서 생기는 오차. 그 계기보다 오차가 작은 표준 계기에 의해 보정할 수 있다. 개인 오차는 측정자의 버릇에 의해 생기는 오차이다. constant error
지천을 포함한 하나의 하천에서 흘려 내려보내는 계획상의 최대 유량. 이것을 기본으로 하여 하도의 계획. 설계를 하며, 유수지 등의 계획도 할 수있다.
고수(高水) 공사에 있어서 계획 기준으로 하는 하천 수위.
도로폭 등의 규격, 철도의 규격, 운행 계획 등을 책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래 추계 교통량. - design volume
토지 이용 규제의 일종. 도시 및 지고에 대하여 책정되는 일정한 구속력을 갖는 구체적 내용의 계획에 적합하도록 건축, 개발 행위, 토지 이용 변경 등을 유도 또는 규제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