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아바이드(carbide)와 염산가스를 주원료로 하는 염화 비닐수지로 제조한다. 내식성 혹은 전식에 강하고 관내에 때(scale)의 발생도 없으나 충격에 약하고 내열성도 낮다. 아세톤(acetone)이나 벤젠(benxene) 등의 유기산에 침식된다.
보통 유리속에서 나트륨을 줄이는 대신 칼륨을 더하여 만든 유리. 잘 융해(融解)하지 않고 높은 열에도 견디며, 물이나 산류(酸類)의 작용을 받는 일이 적어, 흔히 이화학(理化學) 실험 도구를 만드는데 쓰임.
1차선 경하중 슬래브교에 사용하는 프리텐션 방식에 의하여 공장에서 제작된 I형 단면의 다리 거더. 설계 자동차 하중 10tf, 설(雪)하중 100kgf/m2 경우에 대해 이용된다. 대표적인 단면은 그림과 같다.
(1) 액체가 수화. 산화. 중합 등의 화학 변화 또는 건조 등의 물리 변화에 의해서 유동성을 잃어 강성이나 강도가 증가해 가는 과정. 시멘트에서는 응결에 이어서 생기는 과정을 말한다. 금속에서는 가공 기타의 조작에 의해 재료의 경도가 증가하는 것을 말한다. (2) 열처리의 하나. 고온으로 가열한 금속 재료를 급랭하여 경화시키는 조작. 강철에서는 750 ~ 800℃ 전후가 담금질 온도이다. quenching
수평치기 이음에 있어서 구콘크리트면의 처리 방법. 구콘크리트가 굳기 전에 고압 공기나 물로 콘크리트 표면의 박층을 제거하고 굵은 골재를 노출시킨다. 재처리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중요한 공사에는 경화 전처리를 하는 경우가 많다.
2성분형의 재료에서 주제(主劑)에 혼입하여 경화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재료. hardener
굳어진 콘크리트.
등고선은 표척에 의해 여러 가지 간격으로 주곡선, 간곡선, 보조곡선을 넣게 되는데 주곡선 5개마다 굵은 곡선을 넣어서 이것을 계곡선이라 한다.
어업에서는 지역 개체군을 특별히 계군 또는 계통군이라 한다. 동일 종이라도 장소나 채집시기에 따라서 계군이 다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