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rument flight rules의 약어. 평상시 관제 기관의 지시를 받아 비행하는 방식. 계기 비행 방식에 의해 다른 항공기와의 안전 간격이 관제 기관에 의해 설정된다. 이 방식으로 비행하는 항공기는 기상 상태가 계기 비행 상태(일정한 기상 조건보다 나쁜 기상 상태. IMC : instrument meterorological condition)라도 비행 가능하나 항공기에는 무선 통신 설비 등이 필요하게 되며, 파일럿은 계기 비행 증명
공항 내에 설치하여 항공기가 공항으로 진입 착륙할 때의 활주로 연장선 및 진입 각도 등을 기상(機上)의 계기에 표시하여 착륙을 지원하는 항공 보안 무선 시설. 착륙기의 간격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공항 구역 내의 운항을 원활히 촉진시키며, 또한 기상 상태가 나쁜 경우에도 착륙이 가능하므로 운항의 정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착륙 활주로 연장 방향을 표시하는 로컬라이저, 진입 각도를 표시하는 글라이드 패스, 활주로 끝에서의 특정 위치를 표시하는 아우터 마
정밀 진입을 할 수 있도록 무선 및 조명 시설 등이 설치되어 있는 활주로. - precision approach
지질이 연약하고 용수를 수반하는 곳에 이용된다. 통나무(생소나무)의 양쪽 벤자리를 거칠게 파서 접합하여 보울트를 연결한다. 그 위에 받침목을 놓고 동목사이에 자갈을 펴서 침하하지 않도록 지반에 고정시킨 다음에 하수관을 놓는다.
표주식(標柱式) 파고계의 일종. 바다 가운데에 세워 둔 공중의 강철제 원통의 10 ~ 20cm의 간격으로 전극과 고정 저항을 나란히 부착한 것이다. 수면의 승강에 의해 물 속에 들어가 있는 전극의 수가 증감하고 그 결과 회로를 흐르는 전류가 증감한다. 이 크기는 수면의 승강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전류의 크기를 측정 기록하면 파형을 측정할 수 있다.
오수를 정화하는 한 방법이다. 표준 활성 오니법에 비해서 처음 반송오니량의 전량을 폭기조(aeration tank)에 유입시켜 탱크의 유로도중의 몇 개소에서 하수를 나누어 단계적으로 혼합하는 방식이다. 폭기 시간을 단축하여 부유물의 분리효율을 올린다.
하수관거의 단면이 크고 급경사인 경우에는 관거의 도중에 계단을 연속해서 만들고 유수에 대한 에너지를 삭감함과 아울러 흐르는 시간의 저감도 도모한다. 관거를 지표의 경사나 단면에 따라 계단의 높이나 길이를 바꾸어서 접합한다.
주기적으로 새배지에 이식시킴으로써 균주를 보존하는 방법으로 계대배양 사이의 기간은 미생물에 따라 다르며 또 상용된 배지 외부의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계대배양시는 적당한 보존배지의 선택 및 저장조건, 계대빈도 등을 고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