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 기단이 있는 곳에 더운 기단이 접근하면 더운 기단의 공기는 찬 기단 위로 올라가는데, 이 때 두 기단의 경계면을 온난전선이라 한다. 온난전선이 가까이 오면 넓은 지역에 걸쳐 지속적인 비가 내리며, 이 전선이 통과할 때에는 기온이 상승한다.
열대 이외의 지방에서 발생하는 저기압을 일컫는다. 온대성저기압은 1년 중 3~6월에 많이 발생하며, 주로 대륙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대륙성저기압이라고도 한다.
전기 저항선 변형계에 있어서 온도 변화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게이지. 더미 게이지와 액티브(active) 게이지와의 차가 변형으로 되며, 측정의 기준이 된다.
강철 테이프는 온도의 변화에 의해 신축하여 정확한 값을 보여주지 않기 때문에 검정시의 온도와 측정시의 온도와의 차이에 따라 하는 보정. 줄자를 이용한 경우의 온도 보정량은 Δt a(t-to)L 여기서, a : 줄자의 선팽창 계수(약 0.000012), t : 측정시의 온도, to : 표준 온도(지정 온도), L : 측정 길이. 수온 기압계에 의한 수준 측량의 경우의 온도 보정량은 Δt -Ht
양단이 고정된 부재가 온도 변화를 받을 때 그 내부에 생기는 응력. 온도가 t1에서 t2로 변화했을 경우의 온도 응력 a는 다음과 같다. a -Ea(t2 -t1) (t1<t2의 경우) 여기서, E : 부재의 탄성 계수, a : 부재의 선팽창 계수.
아치형 중력 댐, 아치 댐 등에 이용하는 폭 1.0m 전후의 벌어져 있는 이음매. 콘크리트의 온도 강하를 빠르게 함과 동시에 콘크리트의 수축을 빠르게 한다. 이음매의 벌어진 부분은 콘크리트를 채운다.
아치 댐의 외력에는 중력 댐에서 생각할 수 있는 7종의 힘(정수압, 동수압, 이압, 수압, 양압력, 지진력, 자중) 외에 온도 하중이 있다. 이것은 간단하므로 각 아치 요소마다 균일하며 신축 줄눈 그라우트시의 댐 내부 평균 온도에서 그 후에 예상되는 온도 하강량에 따라 결정된다.
시공할 때 혹은 제조할 때의 온도를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아스팔트의 포장공사에 대해서는 혼합온도는 185℃를 넘지않는 범위에서 동점도 150∼300cm 스토우크스(stokes)일 때의 온도범위에서 선택하여 시공온도는 110℃ 이하가 되지 않도록 처음 전압시에는 110∼140℃, 2차 전압이 끝날 때는 70∼90℃가 되도록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콘크리트는 타설할 때 10℃ 이상이어야 하고 서중 타설 때에는 30℃ 이하가 되어야 한다.
매스콘크리트의 균열발생검토에 쓰이는 것으로,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온도응력으로 나눈 값
수괴나 수형을 구분하기 위하여 각 수심에 대해 온도와 염분을 대응시킨 T-S곡선이라 한다. T-S곡선을 통해 해수의 수직 안정도를 알 수 있으며, 심층의 해수순환과 수괴의 혼합에 대하여도 알 수 있다.
만일 T-S곡선이 σt곡선과 교차할 때 교차선이 수심증가에 따라 하향이면 안정, 상향이면 불안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