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존은 분자식 O3, 비중 1.72, 융점-193℃, 비등점 -112℃로써 특이한 냄새를 갖고 있으며, 물에는 녹지 않는다. 오존은 강한 산화제로서 표백·살균에 사용되고 있으며, 인체에 독성이 있어 장시간 흡입하면 호흡기관을 해치므로 주의해야 한다.
산소의 동위 원소로서 O3로부터 O2로 될 때 강한 산화력을 발생하며, 이것을 이용하여 상수도에서 물의 소독에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오존에 의한 소독은 물에 화학 물질을 넣지 않아 염소 소독처럼 냄새를 남기지 않으며, 물에 함유된 유기물에 의한 이상한 냄새나 색도(色度)까지 처리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 소독의 잔류 효과가 없고 물에 잘 녹지 않으며 복잡한 오존 발생 장치가 필요하다는 결점이 있다.
오존이 갖는 산화력에 의해 유기물을 산화 분해하는 처리. 상하 수도의 고도 처리에 사용한다. 또, 강력한 살균력을 가지므로 소독에 쓰는 경우도 있다.
오존(O3)이 갖는 강력한 산화력을 이용하여 수중이나 가스 중의 특정 물질을 제거하는 것. 살균, 표백, 탈취, 제철(除鐵), 페놀 시안의 분해, ABS 분해, 바이러스의 불활성화 등에 사용한다.
정수의 살균. 탈취. 탈색 등 방법의 일종. 강한 살균 작용을 갖는다.
지구의 성층권 내, 지표에서 20 ~ 25km 상공에 고농도의 오존이 존재하는 층이 있으며, 이것을 오존층이라 한다. 오존 홀은 극지에서 이 오존층의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여 오존층에 구멍이 뚫린 것과 같이 되는 것. 주로 남극의 상공에서 발생하며, 1982년에 처음으로 관측되었다.
오존층은 상층 대기중 오존의 농도가 높은 곳을 의미하는데 성층권에 있으며, 해발 10∼15km에서 시작하여 20∼25km에서 그 농도가 가장 높고 50km까지 존재한다. 이 고도분포나 농도는 위도나 계절에 따라서 규칙적으로 변화한다. 오존층은 지상 생물에게 해로운 자외선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대기구조 및 기상학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오존이 흡수하는 자외선 에너지는 상공의 대기를 가열하여 기온의 역전구조를 만들어 성층권을 이룬다. 오존의 대기 가열효과는 위도에 따라 차이가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해 성층권에서 대기 대순환이 일어나는데, 이는 대류권에서 대순환과 함께 일어나므로 기후 결정인자로서도 중요하다. 또한 오존은 적외선 복사를 강하게 흡수·방출하므로 대기의 열복사에도 영향을 미쳐 기후 결정인자로 작용하기도 한다.
성층권 내에 오존(O3)의 밀도가 높은 층으로서 지상 15~30km에 존재하고, 오존층의 두께는 지구전체 평균으로 환산하여 약 0.3cm정도이다. 오존층은 태양의 강한 자외선과 여러 방사선을 대부분 흡수하므로 생물에 해로운 자외선을 지상까지 도달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여 지구환경을 보호하는 구실을 한다.
최근에는 지상에서 에어컨 냉매·스프레이 충전가스·반도체 세정용액 등에 사용되는 프레온가스 등의 오염으로 인해 오존층이 서서히 파괴되고 있어 환경문제가 되고 있다.
오존 농도가 높은 고도 10 ~ 50km의 대기층으로, 성층권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0.32um 이하의 일사를 차단하여 지표에 도달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최근 프론 가스와 질소 산화물에 의한 오존층의 파괴가 지구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정기적으로 오존층을 관측하고 있는 일본 삿포로의 10∼25km 상공에서 1992년에 오존이 1958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였다. 과거 10년간 삿포로 상공의 오존 감소율은 평균 4.5%로. 특히 감소가 심한 겨울에는 최고 18.1%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1991년에는 남극의 오존 흘도 과거 최대라는 것이 판명되었다. 남극대륙기지의 관측에 의하면 1991년 9월에서 11월에 오존 감소가 현저하게 나타나 9월 30일에는 19km 상공에서 실질적으로 오존 제로층이 나타났다. 이러한 감소 경향은 1992년에 들어서도 계속되고 있는데, 미국 항공우주국이 관측한 것에 따르면 1992년 1월에서 3월에 걸쳐 북반구 전체의 오존층이 과거와 비교해 최저치를 기록하였다.
성층권의 오존이 1% 감소하면 자외선은 2% 증가한다. 그리고 자외선이 1% 증가하면 피부암은 5% 정도, 백내장은 1%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오존이 10% 감소하면 자외선은 20% 증가하게 되어 삼림이 고사하거나, 대두나 쌀 등에 병이 나타나고 영양가가 저하되는 등 식물에 영향이 나타나기 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