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존층파괴지수(ODP, Ozone Depletion Potential)"란 CFC11의 오존층 파괴 영향을 1로 하였을 때, 오존층 파괴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상대적 영향을 나타내는 값을 말한다.
어떤 양을 측정할 경우에 측정값과 참값 사이에는 차이가 있게 되는데, 이 차를 말한다.
Gaussion error curve
우연 오차의 분포에 대한 법칙. 가우스의 오차 법칙이라고도 한다.
관측값에 우연 오차가 있을 때 x1, x2, ...에서 만들어지는 함수 yf(x1, x2, ...)를 생각한다. 이 변수의 분산을 σ1, σ2, ...로 하면 함수 y의 분산식은 이 식을 일반적으로 오차 전파의 법칙이라 하고, 변수 x의 오차가 함수 y의 오차에 주는 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간접 관측에 있어서 서로 독립적인 관측값을 X1, X2 .....로 표시하고, 이들의 함수 관계에 있는 다른 값 Z가 Zf(X1, X2, ....)인 경우에, X1, X2, ....의 특수 오차가 각각 주어졌을 때 Z의 특수 오차를 오차론에 근거하여 계산하는 법칙을 말한다. 지금 X1, X2, .
품질관리에 있어서 같은 수단이나 방법 또는 재료에 의해서 물건을 만들어도 그들의 품질특성은 같아지지 아니한다. 측정치는 반드시 차이를 나타낸다. 많은 수를 제조하면 이것의 차이는 일정한 법칙에 따라 있음을 알고 이 법칙을 규명하므로서 차이를 적게해서 정밀도가 높은 제품을 만들 수가 있다.
참값에 대한 오차의 비율. 오차율의 절대값이 작은 것일수록 측정의 정밀도가 좋다.
오차(우연 오차)에 대해서는 경험적으로 다음의 세 가지 공리가 인정되고 있다. 즉 측정의 횟수가 매우 많을 때 [1] 같은 크기의 정부(正負)의 오차는 같은 횟수만큼 일어난다. [2] 절대값이 작은 오차는 절대값이 큰 오차보다 일어나기 쉽다. [3] 절대값이 매우 큰 오차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이 3공리는 오차 함수(확률 함수) 유도의 기초로 되어 있다. - Gaussian error curve, accidental error
그래브(grab) 준설과 같이 좁은 범위 내에서 오탁 발생원이 있는 경우에 오탁 물질이 확산하지 않도록 막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