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치에 작용하는 압축력이 외력의 작용에 의해 재축(材軸)을 따라서 굽을 때의 곡선(또는 절선).
포화한 점성토의 압밀에서 단위 압력의 증가에 의해 생기는 체적 변형. (압축 지수) / (1 + 간극비)로 나타내어진다.
(1) 물체가 외력에 의하여 체적. 밀도를 변화시키는 성질. 이 난이를 나타나는 데는 일반적으로 압축률 또는 체적 탄성 계수를 사용한다. (2) 물체의 표면에 균일하게 압력을 가할 때 압력이 p로부터 p + dp로 증가했기 때문에 처음의 체적 v가 d만큼 감소했다고 하면 C (dv /v) / dp를 물체의 압축률이라 한다. 압축률의 역수를 체적 강성률이라 한다.
축방향으로 압축력을 받는 부재. 기둥은 압축재의 대표적인 것이다. 부재가 길어지면 좌굴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콘크리트의 유효단면적에 대한 주압축철근의 단면적의 비
단면 2차 모멘트를 중심축에서 압축 응력이 방생하고 있는 맨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로 나눈 값을 말한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급수전으로, 나사에 의해 패킹이 상하로 통수구를 개폐한다. 고압에 대해서도 완전하게 작동하며 누수, 고장이 적다. 수리는 패킹만 교체하면 간단히 처리된다.
콘크리트교 가설 공법의 하나. 교대(橋臺) 후방의 육상부 또는 교량 후방의 거더 가설 높이에 제작 야드를 설치한 후, 교체(橋體)를 10 ~ 20m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콘크리트를 쳐서 연결해 가면서 순차적으로 압출하여 가설한다.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