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말뚝이나 널말뚝(sheet pile)의 무소음, 무진동의 드라이빙(driving) 공법의 하나로, 압입 기계나 해머 중량을 이용하여 말뚝 자체의 중량과 정적인 하중에 의해 말뚝을 지반에 압입한다.
타입말뚝공법의 일종으로, 말뚝 박는 기계나 기설의 말뚝에서 반력을 취하여 압입함으로써 말뚝을 설치하는 공법.
타격에 의하지 않고 말뚝머리를 유압 잭 등에 의해 압입함으로써 말뚝을 설치하는 기계. 대부분의 경우 제트 또는 커터를 병용하여 시공한다.
접합하는 재료에 용융 또는 이에 준하는 가열을 하고, 동시에 기계적 가압을 하는 방법. 철근의 압접에는 주로 가스 압접과 전기 압접, 레일의 압접에는 가스 압접과 불꽃 맞댐 용접이 이용된다. 가스 압접은 철근의 경우 접합부를 산소 아세틸렌 가스로 백열시킨 후에 가압하여 접합하지만, 레일의 경우는 점화 이전부터 접합 종료시까지 가압하여 접합한다. 레일의 불꽃 맞댐 용접은 용융 후 가압 접합하는 방법이다. 또한 철근의 전기 압접은 전류를 통해 전기
기둥에 압축력을 작용하고 이 하중을 증가해 가면, 굵고 짧은 기둥은 배가 불러지며 눌리고 파괴되는 현상.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용 정착 장치의 한 구성 부품. PC강 꼰선에 원통형의 철물과 부착을 높이기 위한 삽입 철물을 씌워서 압축하고, PC강 꼰선의 끝 부분에 정착용 치구를 성형한다.
최종 침설함과 단(端) 블록을 접하는가 가설 케이블. 최종 침설함과 단 블록은 드라이 독에서 이 케이블에 의해 수압에 걸맞는 긴장력으로 결합된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압착 접합하는 경우의 줄눈부에 도입되는 압착력.
외력을 가하여 물체의 용적을 축소하는 것.
큰크리트, 철근 콘크리트 및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주로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를 이용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는 콘크리트의 가장 중요한 성질의 하나이다.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구조 부재의 콘크리트를 만듬과 동시에 채취한 원기둥 공시체를 이용하며, 28일간 표준 양생(20도씨 전후의 수중 또는 습도 100%에 가까운 공기 속)한 후의 강도를 기준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