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화된 암설이 중력의 작용으로 급사면에서 떨어져 내려가 퇴적한 반원추형의 지형을 말한다. 가파른 절벽 밑에 형성되며 구성하는 암설은 각모를 이룬 것이 많고 위쪽에는 모래가, 아래쪽에는 굵은 암설이 퇴적되어 있다. 건조지역의 협곡벽이나 동결·융해를 끊임없이 되풀이하는 빙식곡의 측벽, 단층애·해안 등 풍화가 왕성한 지역에 형성되기 쉽다.
풍화 등으로 결합력이 저하한 암석이 급경사면 상부에서 중력의 작용으로 낙하하여 형성된 반원뿔상의 퇴적물, 애추의 표면 물매는 안식각을 넘는 일이 많고 붕괴를 일으키기 쉽다. scree, talus, talus cone
스웨덴의 토양 물리학자. 1911년에 흙이 함수량의 변화에 따라 소성체로서의 성질을 보이는 범위에 있어 함수량의 상하 한계를 정하는 간단한 시험 방법을 제안했다. 이 한계를 컨시스턴시 한계 또는 애터버그 한계라 한다. 컨시스턴시 한계는 액성 한계. 소성 한계. 수축 한계의 세 가지를 말한다.
- Atterberg
실무 처리를 위해 작성된 소프트웨어. 표계산, 원드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혹은 도로 설계나 흙막이 계산 등의 기술 계산 프로그램.
(1) 사질토 등에서 지진동의 작용에 의해 흙 속에 과잉 간극 수압이 발생하여 초기 유효 응력과 같게 되기 때문에 전단 저항을 잃는 현상. (2) 물을 함유한 모래가 물로 포화한 상황에서 진동을 받아 현탁액상(懸濁液狀)으로 되어 흘러 나가는 현상.
자연 함수비가 액성 한계를 넘는 부분의 소성 지수에 대한 비. 자연의 점토는 액성 한계와 소성 한계 사이에 있는 것이 많지만 액성 지수가 1에 가까울수록 그 흙은 액상에 가까운 흙이라 말할수 있다.
점성토가 소성 상태에서 유동 상태로 옮길 때의 함수비. LL 또는 WL로 표시. 흙의 자연 함수비가 액성 한계에 가깝든가 그 이상이면 굴착 공사에서 주의할 필요가 있다.
흙의 물리 시험의 하나인 액성 한계를 구하기 위한 시험기.
많은 수분을 함유한 흙이 소성체로서 최소의 전단 강도를 나타내는 상태에 있을 때의 함수비를 말한다. 흙을 넣는 저울접시를 1cm의 낙하높이에서 떨어뜨려 충격시켜 마침 25회 타격을 주었을 때 미리 퍼티(putty)장으로 반죽해 놓은 어느 시료에 파놓은 규정된 치수의 홈이 오므라질 때의 흙의 함수비를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