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압하에서 여과를 하는 형식의 조(槽). 여과 수두는 여과 전후의 수압차로 얻어진다. 1조의 여과 능력은 약 2,000m3/일 이하. 강판제 밀폐조로 압력관 도중에 설치할 수 있어서 편리하고 외부로부터의 오염을 받지 않는 이점도 있지만 조 내부의 상태를 감시할수 없어 조작에는 불안한 점도 있다.
하수의 이송 방식의 하나로, 종래의 자연 유하와는 달리 펌프 압송에 의해 하수를 이송하는 방식. 자연 유하에서는 관거(管渠)의 매설 깊이가 커지는 평탄한 지형에 적합하며, 주로 소규모 하수도에서 쓰인다. - sewage, small scale sewage system
기체의 압력차를 측정하는 계기로, 가장 간단한 것은 U자관 압력계, 미세한 차를 측정하기 위해 경사 미압계 등이 널리 쓰인다. differential manometer
암석, 콘크리트, 찰흙 등의 인장 강도를 구하는 시험으로, 원주 공시체(圓柱供試體)의 축을 수평으로 두고, 상하로 압축하여 파괴한다. split test
흙낟알의 공극이 포화상태에 있는 점성토에 하중이 실려 있을 경우, 투수가 어려운데서 하중에 대항하는 과잉 공극 수압이 발생한다. 이 상태에서 과잉공극수압을 지진 물이 서서히 배출되어서 흙낟알의 기본(골격)구조가 변화하여 점성토가 압축되어버리는 현상을 압밀이라고 한다.
투수성이 작은 포화한 점토질 토층에 하중에 의한 응력이 작용했을 경우 하중의 대부분이 간극수로 부담되고, 이 간극수에 주위의 간극수보다 높은 수압을 일으킨다. 이에 의해 서서히 간극수가 유동하여 점토층의 흙입자로 하중이 부담되기까지 점토층이 수축하는 현상.
압밀 진행의 속도를 나타내는 상수. 체적 압축 계수 mv 와 투수 계수 k 를 써서 다음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Cv k/ywmv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댐의 기초에 대해 사용되는 기초 처리 공법의 하나. 콘크리트 댐의 기초에는 상당히 큰 응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기초 암반의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댐의 기초면이 되는 범위의 암반 표면 부근에 그라우팅을 한다. 암반의 표면으로부터 3 ~ 10m 정도의 깊이까지 지를 40mm 정도의 구멍을 3m 간격 정도의 격자상으로 뚫고, 3 ~ 7kgf /cm2 정도의 압력으로 이 구멍을 통해 암반 내부의 균열 등의 공극 내부
지반 중에서의 응력 상태를 재현할 목적 등으로 압밀시킨 후 흙 속의 물이 배출되는 데 충분한 시간을 두는 완속(緩速)의 전단 시험. - consolidated undrained shear test
지반 중에서의 응력 상태를 재현할 목적등으로 압밀시킨 다음 흙 속의 물의 배출을 시키지 않는 조건으로 하는 전단 시험. - consolidated drained shear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