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밀에 의한 지반의 침하량과 침하 속도를 구하기 위한 시험. 흙의 공시체(시료)를 원통 내에 넣어서 측면을 구속하고, 축 방향에는 포러스톤을 통하여 배수를 허용하면서 압축한다.
흙의 압밀에 있어서 흙입자에 가한 유효 응력.
흙으로 된 기초 위에 구축된 구조물에 일어나는 침하량 및 그 시간적 비율을 합리적으로 산정하는 이론. 대표적인 것에 테르자기의 압밀 이론이 있다.
압밀 현상을 이론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을 말한다.
구조물의 중량에 의해 생기는 지반의 침하.
압밀에 의해 지반이나 흙쌓기가 침하하는 현상.
일반적으로 점성토의 압밀 시험을 하면 실선 def와 같은 곡선이 된다. 도중에 하중을 제거하면 흙은 팽창하여 fg와 같은 경로를 따르며, 다시 하중을 가하면 gh와 같은 경로를 따른다. 이와 같은 현상은 과거에도 있을 수 있으므로 점선으로 그려진 점 b에 대한 압밀 응력 Pc를 압밀 항복 응력이라 한다. 이것은 이 토양이 과거에 받은 최대의 압밀 응력 즉, 선행 압밀 응력과 일치한다고 말할수 있다.
압밀의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1] 어떤 하중에 의해 압밀된 후, 시간 t 가 경과한 때의 압밀도 U는 u를 초기 과잉 간극 수압, uc를 시간 t가 경과한 때의 과잉 간극 수압이라 하면 U {(u - u1) /u} × 100(%) [2] 시간 t가 경과한 때의 압밀 침하량을 St, 최종 압밀 침하량을 S라 하면 U (St/S) × 100(%) - consolidati
어떤 응력에 있어서의 흙의 압력과 어떤 시간까지의 압밀량과 최종적인 압밀량과의 비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 압밀 백분율이라고도 한다.
포화된 연약층의 압밀에 의한 침하량 및 압밀침하의 빠르기를 추정하기 위해 필요한 흙의 압밀특성을 찾아내는 시험이다. 압밀특성이란 압축지수, 용적 변화율, 압밀계수, 침투계수 등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