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에 대한 결과나 제품의 품질규격에 대한 적합여부를 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검사, 측정, 시험 등이 있다. 검사는 그 시기에 따라 받아 들이는 검사를 뜻하는데 중간검사와 최종검사로 분류한다. 수입검사는 공사를 시작하기 전에 행하는 검사로서 사용하는 재료와 설비 등에 대한 검사이다.
철용광로에서 철을 녹일 때에 상부에 철 이외의 불순물이 모이는 것을 슬래그라 하며, 노에서 막 나온 슬래그에 물을 가해 급랭하면 알갱이 모양으로 된다. 이것을 수재라 한다. 고로 시멘트의 원료로서 사용된다.
전력 회사가 전력 공급에 사용하는 전압. 시설측에서 보아 이것을 수전 전압이라 부른다. 특별 고압, 고압, 저압의 3종류가 있다.
3층 92회의 다지기 시험에서 얻어진 최적 함수비인데 다지는 회수를 17회, 42회, 92회로 바꾸어 시험을 하여, 대응하는 건조밀도를 구해서 그림으로 나타내는 그래프를 그린다. 이 그래프를 이용해서 건조밀도로부터 CBR을 구해 최대 건조밀도의 95%에 상당하는 값을 그 재료의 수정 CBR이라 한다.
입상(粒狀) 노반 재료의 강도를 나타내는 것. - Calilfornia bearing ratio test
구조물의 내진 설계법의 하나. 정적으로 취급되는 진도법에 대해 구조물의 진동 특성이나 지반의 성질을 고려하여 수정을 가해 동적 해석의 요소를 가미한 것이다. 높은 교각을 가진 교량의 설계 등에 이용된다.
토폐카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잔골재를 줄이고 굵은 골재를 늘린 것. 골재의 최대 입경은 13~20mm, 2.5mm 체 통과량은 50~60%, 아스팔트량은 6.0~8.5%이다.
수세(水勢)를 약화시켜 흐름의 방향을 규제하기 위해 하천 속에 설치하는 공작물. 토사 침전, 하천 바닥의 세굴(洗堀) 방지, 저수로 안정 등의 효과가 있다. 수제 속을 물이 흘러 물의 세력을 약화시키는 투과 수제와 수제를 월류(越流)시키는 불투과 수제가 있다.
하천의 흐름을 적극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하안에서 하심을 향해서 어느 각도나 길이로 억제한 공작물이다. 하안부근의 유세를 약회시켜 하상의 세굴을 방지하고 토사의 침전을 촉진하여 하안을 보호하여 수류의 방향을 바꾸어 낮은 수로의 넓이나 수심을 유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말뚝박기가 불가능한 하천중류부 이상에 쓰인다. 유속이 빠른 곳에서는 비교적 투과도가 큰것일지라도 효과가 있고 부재가 철근 콘크리트일 경우는 내구성이나 강도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