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양에서는 보통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수온이 감소하는데, 반대로 증가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수심이 깊어지는데 따라 수온이 상승하는 현상을 수온역전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4천~5천m보다 더 깊은 경우에는 수압의 영향으로 수온이 높아진다. 그밖에 표층에서도 고위도 해역에서는 해면이 겨울동안에 냉각되기 때문에 수온역전이 일어나며, 온도가 다른 수괴가 접하는 지점에서도 역전현상이 일어난다.
하천(河川)의 최상류 부분.
하천의 수위는 어떤 기준면 혹은 육지 수준 기점에서 측정한 수면의 높이로 나타낸다. 출수 규모를 나타내는 하나의 지표가 된다. 수위의 관측에는 양수표가 사용된다. 수위와 유량과의 관계르 구하여 유량의 시간적 변화를 알고 출수 해석에 제공된다. 각 하천의 기준면을 정하여 두면 편리하다. elevation of the water surface
하천의 어느 지점에 있어서의 수위(일반적으로는 고수위)를 좌표의 세로축에 취하고 시간 경과를 가로축에 취하여 그린 도표상의 곡선.
하천의 어느 지점에 있어서의 수위를 좌표의 세로축에, 시간 경과를 가로축에 취하여 그려진 도표상의 곡선.
하천의 어떤 지점에서 수위와 유량의 관계를 조사하면 일정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 관계를 나타낸 곡선을 말한다. 곡선의 식은 일반적으로 수위 h에 관한 2차식이 된다. 유량 Q a + bh + ch2 상수 a, b, c는 하천에 따라 다르다.
수로 내의 유량 변동에 대한 수위를 조정하여 안정한 분수(分水)를 하기 위해 설치된 시설.
(1) 하해(河海). 호수 등의 자유 수면의 높이. 하천의 수위는 어떤 기준면 또는 육지 수준면 기점에서 측정한 수면의 높이로 나타낸다. 수위의 관측에는 양수표(量水標)가 이용된다. (2) 자재의 반입, 중기의 진입을 위해 가설적으로 설치하는 구조물. 지하 굴착에 병용하여 흔히 설치된다.
하천, 호수, 수조 등의 수면의 위치 혹은 기준면에서 수면까지의 높이를 표시하는 계기.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기구. 하천 속에 표척을 설치하여 수면을 측정하는 수위표(水位標)와 하천과 연결된 샘을 파서 측정하는 자기 수위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