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684/1604)

(수산물품질관리법 제2조) 수산전통식품이라 함은 예로부터 전승되어 오는 우리 고유의 맛·향 및 색깔을 내는 식품을 말한다.
(수산물품질관리법 제2조) 수산특산물이라 함은 수산가공품중 특정한 지역에서 생산하거나 특징적으로 생산한 수산물을 원료로 하여 특징적으로 제조·가공한 제품을 말한다.
slaked lime
바다의 수면상에 있던 도시, 혹은 도시의 부분. 말뚝 위 또는 부유체 위의 인공 지반에 만드는 도시.
수중에 생육하는 식물(고등 식물이 주체)의 총칭으로, 생활 형태의 차이에 따라 몇 가지로 세분된다. 추수(抽水)식물은 물가에서 생육하며 일부가 수중, 일부가 지상에 나와있는 갈대. 큰부들. 연 등, 수엽(樹葉)식물은 뿌리를 물바닥에 내리고 잎이 수면에 떠 있는 순채. 마름 등, 침수(沈水)식물은 뿌리를 물바닥에 내리고 수면하에서 생활하고 있는 크로모 등이 있다. 수질 오염에 민감한 것이 많아 환경 지표 식물로서 관찰되는 외에 갈대 군락 등은 수질 정화
동물의 생태 분포상에서 본 한 구분으로서, 바다·호소·하천 등의 수중에서 생활하는 동물의 총칭이다. 수생동물은 물의 밀도가 크므로, 부레가 있거나 몸이 한천질로 되어 있는 등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몸이 물에 뜰 수 있는 구조나 형태를 하고 있는 것이 많다. 대개의 해산동물은 체내염류의 농도가 바닷물의 염류농도와 비슷하므로, 체내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기관이 특별히 발달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담수동물은 체액의 농도가 담수보다 높으므로, 체액의 농도가 낮아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배출기관이 발달하였고, 체표면을 점액으로 보호하여 물의 침투를 막고 있다.
물속에 사는 생물을 통틀어 수생생물이라고 한다. 수생생물은 살고 있는 수계의 성질에 따라 해양생물·담수생물·기수생물로 구분한다. 분포하는 수역에 따라서는 연안생물·외양생물·심해생물·하천생물·호소생물 등으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생활양식 즉, 생태에 따라 부유생물·유영생물·저서생물로 구분한다.
물속이나 수면에서 바닥에 뿌리를 두거나 떠다니면서 살고 있는 모든 식물을 말하며, 수중식물이라고도 한다. 수생식물은 식물체의 표면에서 직접 수분이나 양분을 흡수하므로 뿌리의 발달이 나쁘다. 연꽃·개구리밥·갈대·수련 등이 대표적인 수생식물이다.
목재의 마구리 중심부(수심 : 髓心)에서 나무껍질로 향하는 방사상의 세포 조직. 널결에 방추형 또는 선형으로 나타나며, 수액(樹液)을 보내 양분을 저장한다.
선박을 수리하기 위한 독. 일반적으로는 육지를 파낸 드라이 독이 많으나 부상 독을 사용하는 것도 있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