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성암이라고도 한다. 퇴적암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물의 작용으로 운반된 여러 가지 쇄설물이 수중에서 침전. 퇴적한 것을 말한다. 입경의 크기에 따라서 보통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sedimentary rock, shale
암석의 조각이나 미분, 수중에 용해한 광물질이나 생물의 유각(遺殼)등이 수저 또는 지상에 층을 이루고 퇴적하여 오랜 세월 동안 굳어진 것. sedimentary rock
정수장에서 급속 여과지의 세사(洗砂)의 한 방법. 최근의 정수장은 이 방법이 많이 사용되며, 자동적으로 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용접 금속 내에 확산성 수소량이 많을 때 생기는 수소 취성에 의해 발생하는 균열.
강의 조직 내에 수소를 포함하면 연성을 잃는 현상. 고강도강의 지연 파괴 등의 현상의 원인이라고도 한다. 용접시에 저수소계 용접봉을 사용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용액 속의 수소이온 농도를 말하며, 용액 1ℓ 속에 존재하는 수소이온의 그램이 온수의 역수의 상용로그를 의미하며, pH라는 기호로 표시하고 pH = -log[H+]으로 정의된다. pH=7은 중성이며, 0
용액의 산성, 알칼리성을 나타내는 척도. 수용액에 존재하는 수소 이온의 그램이온(수소이온농도)은 1보다 훨씬 작은 수인 경우가 많으므로 수소 이온 농도의 역수에 대한 상용로그를 수소이온 지수로 나타내 사용한다. 이것이 pH다. pH는 0에서 14까지 있으며, 용액이 산성이면pH는 7보다 작고, 알칼리성이면 7보다 크다. 산성비는pH 5.6이하의 비를 말한다.
용광로 내의 용해한 금속 위의 찌꺼기를 압력수로 급냉한 유리질의 가는 알갱이. 알칼리 환경하에서는 잠재 수경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고로 시멘트의 원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break tank
선로에 불량 지점이 발생할 때마다 수선을 하는 방식. 매일 또는 일정 기간마다 선로를 순회하여 불량 지점을 발견하고 그 때마다 재료 교환 또는 다짐작업 등을 한다. 이에 대해 일정 주기마다 정기적으로 재료 교환, 재료 보수, 도상(道床)별 다짐 등을 하는 작업 방법을 정기 보수 방식이라 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수시 수선 방식과 달리 기계력을 대규모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궤도의 보수 관리가 체계적으로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