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관, 탱크, 보일러 등과 같이 압력이 걸리는 기기에 사용 전에 미리 규정의 수압을 가하여 누수의 유무를 검사하는 시험.
수력 발전소에서 취수구, 헤드 탱크 또는 서지 탱크와 수차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철관 및 그 부속 설비. 수압 철관은 내압, 자체 무게, 관내 물의 중량, 온도 변화 및 지진력, 기타의 제반 외력에 대해 안전한 것이어야 한다.
헤드 탱크(head tank) 혹은 조압수조(surge)에서 발전소의 수차까지 물을 오게하는 압력관 및 그 지지특설비 등 모든 것을 포함해서 수압관로라고 한다. 지지형식에는 받침대의 받침형식과 매설관형식이 있는데 새들(saddle) 받침대와 링거어더(ring girder) 받침대 등이 있다.
바람 하중의 평가에 있어 건물의 규모 효과 즉 수압 면적이 커짐에 따라서 등가인 최대 하중값이 저감되는 정도를 수량화한 계수 size reduction factor
파고를 파에 의한 수중의 압력 변동으로 측정해가는 형식의 파고계. 가장 일반적인 것은 공기를 넣은 고무 튜브를 물에 담그고, 수압의 변화를 공기압의 변화로 변환하여 이것을 벨로스의 신축, 접동(摺動) 저항을 통해 검류계로 기록하는 형식의 것이다.
항만 구역 및 임항 구역 내에서의 항로. 정박지 및 선박의 정박 장소를 말하며, 주로 입항 선박의 수량과 선형(船形)에 따라서 규모가 결정된다.
인출식 가설 공법의 일종. 미리 조립된 플레이트 거더의 선단에 그 거더의 60% 정도의 지간을 가진 가늘고 긴 수연기라는 트러스를 부착하고 그 수연기를 인출하여 거더를 가설하는 방법이다.
해양에서 수온은 -2℃~30℃사이의 변화범위를 가지며, 같은 위도라도 지역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고, 일변화와 연변화가 나타난다. 해수는 열용량이 크고 열의 혼합작용이 활발하므로 해수온도의 변화범위는 육지에 비하여 매우 적고, 수온변화는 해수의 성질과 그에 따르는 생물분포를 변화시키는 중요요인이다.
수온이 수심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층을 말한다.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태양 복사에너지의 투과량이 급속히 감소하기 때문에 이러한 수온의 감소가 나타나는 것이다. 수온약층의 위에서는 해수의 수직혼합이 일어나 수온이 일정한 혼합층이 존재하며, 아래에서는 바닥에 이르기까지 수온변화가 거의 없는 차가운 해수가 존재한다. 수온약층 상부는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온도가 높으므로) 해수가 존재하고 아래쪽은 밀도가 높은 해수가 존재하므로, 수온약층이 잘 발달할수록 상·하층의 해수교환은 잘 일어나지 않는다.
온대지역의 경우 수온약층은 계절에 따라 그 깊이가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를 계절적수온약층이라 한다. 여름에는 표층과 심층의 온도 차이가 크게 나타나 보통 수심 10~100m 사이에 수온약층이 발달했다가, 겨울에는 더 깊은 곳에 형성되거나 사라진다.
대양에는 덜 경사지는 영구적수온약층이 있는데, 이 수온약층은 계절적수온약층 아래에서 계절의 영향을 받지 않고 연중 거의 같은 깊이에 나타나며, 균일한 심해수괴에 도달할 때까지 존재한다. 이 영구적수온약층은 해수구조와 위치에 따라 100m부터 1000m이상까지의 수심범위에서 존재한다.
열대지역에서는 연중 계속 태양방사량이 많으므로 영구적수온약층만 존재하며, 극지방의 경우에는 표층의 온도와 바닥의 온도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수온약층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맑은 날에는 일수온약층이 계절적수온약층 위에 발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