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활동의 안전성이나 기능성 등을 확보하고 쾌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건축, 개발 행위 및 토지 이용의 변경 등을 제한 또는 유도하는 도시 계획적인 토지 이용 규제의 일종.
다목적 댐 등의 시설 계획을 세웠을 때, 그 시설에 의해 정상 유량을 확보한 후에도 다시 유수(流水)의 점용을 허가할 수 있는, 다시 말해서 수리권(水利權)을 부여할 수 있는 수량.
토지를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경하는 것.
기반이 지표면에 노출된 상태를 말한다.
opin systems interconnection 의 약어. LAN 통신과 관련되는 규약의 하나로, 이기종간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ISO(국제 표준화 기구)가 정한 표준.
특수 공법의 일종으로, 상부가 대기 중에 열린 케이슨(지하실 구조체)을 지상에서 구축하고, 케이슨의 밑부분을 굴삭하여 예정의 지반까지 침설시키는 공법. - caisson method
부패균에 의한 목재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방부법의 일종. 처리하고자 하는 목재를 80 ~ 120도씨로 가열한 크레오소트 탱크 속에 1시간 내지 수시간 담근 후, 이것을 상온의 크레오소트 탱크로 옮겨 2시간 내지 수시간 담가 둔다.
절단면을 원반(cuttredisk) 등으로 밀폐하지 아니한 보호물(shild)로서 수굴식 쉬일드가 여기에 해당한다. 기계 굴착 쉬일드이며 부분적으로 밀폐된 커트 디스크이다. 예를 들면 스포우크(spoke)상의 커터(cutter)을 장치한 것을 개방형이라고 할 때도 있다.
발파하는 곳에 있어서 공기에 닿는 면을 말한다. 예를 들면 도갱에서는 하나인데 절개부는 둘이다. 많을수록 발파는 효율적이다.
재생 이용 업자의 개별 지정을 말한다. 넘겨받은 폐기물의 전량이 재생 이용되는 것이 확실한 경우 당해 폐기물의 종류마다 개개의 재생 이용 장소, 폐기물의 발생 장소를 정하고, 개별로 업자를 지정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