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적 강한 지진동을 기록하는 지진계. 설정값 이상의 지진동을 감지하면 자동적으로 작동한다. seismograph
지진동(地震動)의 진폭이 커져도 충분히 기록할 수 있도록 설계된 지진계이며, 흔들이의 암(arm) 길이를 충분히 길게하여 최대 편각(偏角)이 얻던 한도를 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지진동을 실제 크기로 기록함으로써 상하동 지진계와 수평 흔들이로 이루어지는 2개의 수평 지진계를 조합한 것이며, 지진동의 수평 성분을 1/2로 축소하여 기록하는 것으로 도립(倒立) 흔들이를 응용한 것이 있다.
터널 복공(覆工)에서 거푸집의 아치 부분으로 강철제이다.
터널 굴착에서 그 동바리공을 강재를 사용하여 아치식으로 한 것. 강재는 I형. V형. U형. H형 단면을 사용한다. 이점으로는 동바리공을 굽혀 세워 콘크리트에 매입한 것으로 안전성이 높은점, 지주가 없기 때문에 시공 단면이 넓은 점 등이 있다.
폭 10mm 또는 6mm, 길이 10 ~ 50mm 정도의 얇은 띠 모양의 강에 최소 1mm의 눈금을 매긴 것. 표준 온도에서 표준 장력을 가했을 때의 값이 참값에 가까운 값을 보여 주기 때문에 표준 이외의 측정 조건에서는 보정값을 계산하여 측정값을 수정함으로써 높은 정밀도의 결과가 기대될 수 있다. 녹슬기 쉬운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스테인리스강 또는 나일론으로 피복한 강 등이 사용되고 있다.
토사, 골재, 콘크리트 등을 운반하는 운반차(버력 트롤리)의 일종으로, V형 전도(轉倒) 트롤리라고도 한다. 강제 대차(臺車) 위에 강제 용기가 냄비형으로 되어 있다. 토사의 배출은 수동 조작에 의해 좌우 어느 쪽으로나 전도할 수 있다. 터널 공사에서 많이 사용하며 운반은 레일 위를 주행시키는 것으로서 1m3 이하의 소용량의 것이 많다. 최근에는 토사 배출용의 전도 장치가 발달했기 때문에 건설용으로는 구조가 간단하고 튼튼하며
perfect rigid body
기초의 변위 및 안정의 계산에서 기초체 자신의 탄성 변형율 계산상 무시할 수 있는 강한 구조의 기초를 말한다. 기초 형식으로서는 직접 기초, 케이슨 기초가 이에 해당한다.
물체가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변위할 때의 변위의 총칭.
물체가 그 자체의 형상을 바꾸는 일 없이 운동하는 상태. 병진(竝進) 운동과 회전 운동의 성분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