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의 공칭강도와 실강도간의 불가피한 차이, 제작 또는 시공, 저항의 추정 및 해석 모형 등에 관련된 불확실성 등을 고려하기 위한 안전계수를 말하며, 저항계수라고도 한다.
노동재해의 발생을 휴업에 의한 손실일수에 의해 재해의 강도로서 나타낸 것이다. 다음과 같이 100배한 것을 이용한다. 강도율 (일정기간의 연노동손실일수/일정기간의 연노동시간)×1000
노동 재해의 경중(輕重)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노동 손실 일수×1000/연 노동 시간으로 나타내어진다.
(1) 강철 말뚝에는 강관 말뚝과 H형 강말뚝이 있으며, 타입 관통력이 크고 이음의 시공이 확실하며 또한 수평 하중에 대한 휨 저항이 강하기 때문에 깊은 기초에 이용된다. 강관 말뚝은 강판을 둥글게 하거나 나선상으로 감아서 그 이음매를 용접하여 만들며 바깥 지름이 2000mm인 것도 있다. H형 강말뚝(H말뚝)은 압연 또는 용접으로 만들며 단면의 크기는 500mm 까지이다. (2) 강철제의 관. 무이음매 강관과 용접 강관이 있으며, 외경 약 2
철판에 반(半) 랜싱(lancing) 가공과 인장 가공을 하여 그물눈 모양으로 가공한 것. 귀갑(龜甲 : 거북의 등껍질)형과 마름모꼴의 두 종류가 있다. 상판(上版)의 일종으로, 교상(橋床), 각종 층계참(層階站), 플랫폼 및 콘크리트의 보강재에 사용된다. 그물눈이 보기 좋기 때문에 침입방지용 펜스 등에도 사용되고 있다.
하천에서 채취되는 모래.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용 작은 골재로 사용된다.
각 부재의 강도(剛度) kn의 표준 강도 ko에 대한 비(k). 라멘 구조물 해법의 처짐각법의 계산식에 이용된다.
어떤 부재의 강도를 표준 강도로 나눈 값.
물매가 매우 큰 경우 차량을 운전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로프에 차량을 팽팽하게 연결하고 권상기를 이용하여 차량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두레박식과 순환식이 있으며, 전자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흔히 케이블카라고 부르며, 케이블 철도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