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41/1604)

가로 세로 격자 모양으로 배치된 부재(리브)로 보강된 강판으로 이루어진 상판. 세로[교축(橋軸)]방향의 리브에는 벌브(bulb) 플레이트, U자형으로 성형된 강판(U리브)등이 사용된다. 철근 콘크리트의 상판에 비해 가볍고 또한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긴 지간(支間)의 교량이나 높이가 제한된 교량에 채용된다. steel plate floor
박스형 거더교는 비틀림에 강하기 때문에 대지간의 교량에 사용되는데 사하중을 경감하기 위하여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 대신 강상판을 사용한 교량. 강상판은 박스형 거더의 상플랜지와 공용이며 보강 리브로 보강한다.
일반적으로 하층에 구스 아스팔트 포장, 상층에는 개질 아스팔트 포장을 쓰고, 포장 두께는 6 ~ 8cm로 구성된다. 고무가 든 아스팔트 유제 등에 의한 접착층을 둘 필요가 있다. 또, 상판상에 물이 괴지 않도록 포설 전에 배수 설비의 확인이 필요하다. - improved asphalt, cleaning, Gussasphalt pavement
(1) 강제의 선재. 연강 혹은 경강을 선 모양으로 가공해서 만든다. 비계 등의 긴결, 가선(架線), 용접 쇠그물, PC 강재 등에 사용한다. (2) 연강재를 신선(伸線)한 것. 보통 철선, 풀림 철선, 아연 도금 철선, 못용 철선의 종류가 있으며, 보통 철사, 못 등으로 사용한다.
섬유 보강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등에 쓰이는 강단 섬유(鋼短纖維)의 재료. 균열 구속성, 내충격성, 인성(靭性) 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쓰인다. 혼입률 1.0 ~ 2.0%가 많다.
강섬유 혼입으로 휨 강도나 내마모성을 강화한 콘크리트 포장. 균열에 대한 구속력이 크며, 박층 콘크리트 포장에 적용 예가 많다.
길이 20 ~30mm, 직경 0.5mm 정도의 강섬유를 균등하게 분산 혼입한 콘크리트. 강도가 크고, 에너지 흡수 능력이 크다.
강섬유를 혼입시킴으로서 주로 인성이나 내마모성 등을 높인 콘크리트
(1) 재료의 휨이나 비틀림에 대하여 저항하는 능력을 강성이라 한다. (2) 구조물 뚜는 그것을 구성하는 부재는 하중을 받으면 변형하는데 이 변형에 대한 저항의 정도, 즉 변형의 정도를 말한다. 축방향력만을 받는 부재에서는 영 계수 E와 단면적 A의 곱 EA, 휨을 받는 부재에서는 영 계수가 E와 단면 2차 모멘트 I의 곱 EI, 전단을 받는 부재에서는 전단 탄성 계수 G와 단면적 A의 곱 GA에 비례한다. stiffness
변위법에서 힘과 변형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F} [K] {δ} + {C} 의 [K]에 해당한다. 유성(柔性) 매트릭스의 역 매트릭스가 된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