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사지의 거리 측량 방법의 하나로, 경사면을 내려가는 방향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등측(登測)보다 작업이 용이하며 정밀도도 좋다. - chaining uphill
강트러스를 주 구조로 하는 교량. 트러스의 사재(斜材). 현재(弦材)의 형식에 따라 플랫 트러스. 워런 트러스. 곡현 트러스. 분격 트러스 등이 있다.
강괴(鋼塊)를 성형 압연한 판재. 열간 압연 강판. 냉간 압연 강판 등이 있으며, 후강판(두께 3mm 이상) : 일반 구조용 강재, 박강판(두께 3mm 미만) : 강철제 거푸집 (패널)으로 쓰인다. steel sheet
강판 널말뚝을 이용한 繫船岸은 구조형식에 따라 1) 스태이(stay)工 널판식 계선안, 2) 자립식 계선안, 3) 비스틈 支索말뚝 널판식 계선안, 4) 이중 널판식 계선안, 5) 쉘식 계선안이 있는데 가장 일반적인 형식은 1)이다. 1), 2)에 대한 규모가 적은 것에는 콘크리트 널판이 쓰일 때가 있다.
1) 岸壁의 강판 널말뚝의 타설, 앵커(anchor)판의 말뚝박기 2) 앵커판의 콘크리트 공사 3) 앵커판과 강판 널말뚝을 연결하는 스테이(stay) 공사, 도중에 받침말뚝 등의 타설 4) 강판 널말뚝의 뒷면에 둥근 돌을 쌓아 뒷 메우기 5) 앞면을 규정된 깊이로 준설한다. 6) 뒷면을 매립한다. 7) 앞면을 콘크리트로 타설, 규정한 높이까지 매립 8) 繫船柱나 정차할 곳을 설치 9) 포장공의 시공 10) 防舷材를 시공 11) 전기방식
방법을 크게 나누어서 비계 박기 방법과 직접 박기 방법이 있다. 앞의 것은 1) 뭍에서 박기 2) 바다에서 박기 3) 비계 박기가 있고, 박는 방법에는 1) 드롭해머 2) 스티임해머 3) 에어해머 4) 디지젤해머 5) 바이브로 해머의 구별이 있다. 비계는 시공 현장이 물이냐 바다냐 말둑박는 잔교는 무엇인가 등으로 결정되고, 타격법은 말뚝길이, 시공속도, 시공규모, 비계의 방법 등으로 정해진다.
강판 널말뚝은 널말뚝의 양단에 있는 갈퀴 때문에 서로의 접속이 좋고 물막이성에도 뛰어나다. U형, Z형, H형, 직선형, 강관형 등의 타입이 있다.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는 것은 물막이 성능이 좋은 U형이다.
어느 단면의 宜心을 통하는 축 x에 대한 단면 2차 모우먼트 I를 축에서 단면 상하의 거리 y1, y2,로 나눈 값(z1I/y1, z2I/y2)을 그 축에 대한 단면계수라 한다. 단위는 cm3로 나타내며 단면 2차 모우먼트(I)와는 어느 단면 A의 각 부에 대한 면적요소 dA에 있는 축 x에서의 거리 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