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뼈대의 절점에는 헌치(haunch)가 있거나 폭이 넓은 기둥이나 벽이 부착되어 있다든지 하기 때문에 여기에는 단면 2차 모멘트가 무한대에 가까워지는 부분이 생긴다. 이 부분을 강역이라 하고 일종의 변단면재(member of non-uniform section)로서 다룬다.
시멘트를 950±50℃로 항량(恒量)이 될 때까지 가열했을 때의 중량의 감소 백분율. 시멘트의 풍화가 진행한다거나 혼합물이 존재하면 이 값이 커진다.
어떤 강우의 강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그 강우의 계속 시간을 1시간으로 잡고 각 계속 시간의 강도(최종 강우량)를 1시간으로 환산하여 비교하기 쉽게 한다. 강우 강도 i는 iR(mm)/t(분). 여기서, i 는 (mm/시간)으로 표시한다. rain-fall intensity
빗물은 전부가 하천이나 하수로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는 땅 속으로 침투하거나 증발한다. 이 때문에 하천이나 하수로 유입해 갈 필요한 우수(雨水) 유출량을 구하는 방법으로 [1]합리식, [2]경험식, [3]기타의 방법이 있으나 그중 [1]의 식으로서 강우 강도 공식이 있다. I 를 강우 강도 (mm/h), t를 강우 계속 시간(분), a, b, n 을 지역에 따라 달라지는 상수라 하면 ia/t + b (탈보트형) ia/tn
어느 강우의 세기를 나타내는데 그 강우의 계속시간을 1시간으로 잡고 각 계속시간의 강도(즉 우량)를 1시간으로 환산하여 비교하기 쉽게 한다. 강우강도강우량(mm)/계속시간(분)×60
강수량을 관측하는 것. 빗물이 수평면 위에 고인 것이라고 생각하여 그 깊이를 mm 로 나타낸다.
1일 강우량이 0.1mm 이상을 나타낸 날.
하천에서 채취되는 자갈. 콘크리트, 굵은 골재용으로 사용된다.
동물 분류학상 한 문으로서, 다세포동물이기는 하나 몸의 구조가 간단하고 중추신경과 배설기가 없다. 강장동물은 소화계와 순환계가 분리되어 있지 않은 등 진화의 정도가 낮으며, 해파리·산호·말미잘 등이 대표적인 강장동물이다.
PC 강재 및 인장측의 보통 철근의 단면적에 각각의 항복점 응력을 곱한 값을 콘크리트의 유효 단면적과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의 곱으로 나눈 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