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하류 2점간의 고저차의 비. 분자를 1로 한 분수로 표시한다. 하천의 종단 물매는 지질이나 지형 등에 따라 여러 가지로 변화한다. (2) 주로 유럽에서 사용되고 있는 100분법에 의한 각도의 단위. 단위 기호는 g이며 사진 측량에 이용된다. [단위의 환산] 100g90°, 1g100cg(센티그레이드) 1cg100ccg(센티센티그레이드), 1g540.9°.
(1) 경사의 정도. 지붕의 경사를 나타낼 때 등에 사용되며, 각도로 나타낸다든지, 10을 분모로 했을 때의 분수, 높이/저변(예를 들면 3/10)으로 나타낸다. 3/10을 3/10물매라 한다. (2) [1] 같은 형의 그 중심 간격. 철골 구조의 리벳이나 볼트의 중심 간격. [2] 타르. 석유 등의 증류에서 생기는 고체물.
철도 선로의 물매가 바뀌는 지점에 설치하여 물매를 표시한다.
통문출입구 등에서 물이 직접 바닥면에 닿는 곳이다. 배수에 의한 세굴 및 냇물에 의한 세굴을 막기 위해서 설치하는 공작물이다.
구멍 비탈면의 안정을 위해 시공되는 각종의 비탈면 보호 공사로, 콘크리트 블록 쌓기, 콘크리트 라이닝, 모르타르 블로잉 등은 비탈면을 구조물로 덮기 때문에 지산의 침투수 유출이 방해되어 붕괴의 원인이 되므로 물빼기 구멍을 적당한 장소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물빼기 구멍은 내경 5cm 정도의 경질 염화 비닐관으로, 2 ~ 3m2 정도에 1개 설치한다. 용수가 많은 물빼기 구멍에서는 배수 처리가 불충분한 경우 맹배수(盲排水) 등에 의
상업적인 목적으로 사람이 수생생물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것을 말하며, 박테리아·조류·소형무척추동물·연체류·갑각류·어류의 배양도 물속배양에 포함한다. 해수에서의 해양생물 배양은 해양양식이라 한다.
반죽한 콘크리트 또는 모르터에 있어서 골재가 표면건조포화상태일 때의 시멘트 풀(cement paste) 속에 있는 물과 시멘트의 중량비를 말한다.
소형선박이 접안하는 부두로서, 주로 어선·부선 등이 접안하여 하역하는 설이다. 일반적으로 전면수심이 4.5m 이내이다.
물유리는 물유리계의 주입공법에서 사용된다. 물유리계의 약액을 물유리 즉 규산나트륨(Na2O, nSiO2)의 수용액을 주제로 시멘트나 산 또는 산성염 등을 반응제로 하는 약액이다.
유리 약액 주입 작업에 사용되는 약액의 일종으로, 규산 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하는 액상의 자료. 각종 첨가제를 혼입하여 흙 속에 주입하는데, 수10초 내지 수분내에 응결한다. 물유리계의 약액은 사람의 건강이나 환경에 대한 영향이 적어 가장 많아 사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