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링 구명 속에서 둘레의 지층을 연속적으로 조사하는 방법(구멍 내 탐사법)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1] 전기 검층법 : 오수로 채워진 보링 구멍 속으로 전극을 내리고 지층의 전기 비저항이나 자연 전위를 연속적으로 측정한다. 지층의 간극률, 투수성 등 지층의 대비에 사용된다. [2] 속도 검층법 : 진원으로서의 초음파 발생기와 수신기를 1m 의 거리를 두고 설치한 것을 보링 구멍 속으로 매초 약 50 cm의 빠르기로 내리고, 1초간에 10
natural error
중력. 지자기 및 지전위의 이상, 전기 저항의 변화, 탄성파의 반사. 굴절, 방사선의 이상 등을 측정하여 지하의 지질 구조나 광물 자원의 소재를 탐사하는 것.
지반의 물리적 성질을 이용하여 토질 조사를 하는 방법으로, 전기 저항식 지하 탐사법(전기 탐사), 탄성파 지하 탐사법, 진동 기록에 의한 방법 등이 있다. physical method for soil survey
지표에 있어서 지하 밀도의 차이, 지하수의 상태 등을 측정하여 지하 물질의 분포 상태를 추정하는 것. 지진 탐사법, 음파 탐사법, 전기 탐사법, 물리 검층법, 자기 탐사법 등이 있다.
오탁 물질 등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 원리를 응용하여 처리하는 것. 물리적 처리에는 여과나 침전, 화학적 처리에는 중화, 응집, 오존 산화 등이 있다.
암석이 풍화하는 원인 중 온도 변화. 동결 융해. 파랑. 유수(流水). 빙하. 바람 등 주로 물리적 작용으로 설명되는 것을 말한다.
지표에서 비교적 간단한 측정기구를 이용해서 지층의 대충 상황을 추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지반중을 전하는 지진파의 속도에 의해서 그 구성을 아는 탄성파심사와 지반의 전기적성질로 추정하는 전기심사가 주로 사용된다.
하천의 지파천(支派川)을 물막이하거나 신천(新川)을 개조함에 따라 구천(舊川)을 물막이할 경우 등에서 구수로를 횡단하여 만드는 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