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이 지구 표면과 그 근처에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순환하는 것. 수자원의 입장에서는 주로 증발, 구름, 강수, 지표수, 증발이라는 순환을 가리킨다.
고압의 물을 분출시켜 말뚝 또는 시트 파일 등을 박아 넣기 위한 기계. 말뚝박기인 경우는 수사식 말뚝 타입기라 하며, 말뚝 끝에 물을 분출시켜 주위의 토사를 배제하여 말뚝을 침하시킨다.(모래, 자갈 등의 지반에 적합하다). 압력은 연한 토질 1 ~ 2kg/cm2, 다져진 토질 10 ~ 12kg/cm2.
물줄기의 충격을 받는 곳을 말하는데 세굴이 매우 심하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구조물은 물의 충격부에 설치하는 것을 피하고 있다.
water environment, hydrological environment
프리팩트콘크리트에 있어서 플라이애쉬 또는 기타의 혼화재를 사용하여 비빈 모르터 또는 콘크리트에서 골재가 표면건조포화상태에 있다고 보았을 때 풀(paste)속에 있는 물과 시멘트 및 플라이애쉬, 기타 혼화재와의 중량비
믹싱한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에 있어 골재가 표면 건조 포화 상태로 할 때의 시멘트 페이스트 속의 물과 시멘트의 중량비. 보통 백분율로 나타내며, 기호는 W/C로 표시한다. 시멘트. 물비의 대소는 강도와 직접 관계가 있다.
청정하고 강고한 골재를 사용한 플라스틱한 콘크리트를 적당하 시공한 경우 콘크리트의 강도는 물. 시멘트비에 의하여 지배된다고 하는 법칙. 1918년 Abrams가 제창하였다.
포유류에 속하며, 몸길이는 수컷이 약 2.5m까지 성장하고, 암컷은 약 1.3m로 작다.
항만의 구조물을 설계할 때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물결의 여러 가지 근원은 파고(H), 파장(L), 주기(周期)(T), 파속(波速)(C), 파향이 있다.
진행파가 방파제나 안벽 등에 닿으면 대부분은 반사되어 입사파와 겹쳐 중복파가 형성된다. 반사파고와 입사파고의 비가 반사율인데 반사율 1의 경우에 파고는 입사파고의 2배가 되어 파형은 진행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에서의 반사율은 주로 구조물의 사면경사, 사면조도, 공극율, 입사파의 파형경사(H/L)에 관계되며, 정확한 값을 구하는데는 모형실험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