닻에 의해 정박해 있는 선박에 지장이 없는 수역. 단묘박 (單錨泊)과 쌍묘박 (雙錨泊)의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지붕이 없으며, 측판(側板)과 밑판만이 있는 화물 열차. 통나무재 등을 적재하는 데 적합하다.
측정값에 대한 신뢰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예를 들면, 동일 구간을 측정하여 아래와 같은 기록의 결과를 얻었다고 하자. A 53.280m (1회의 측정값) B 53.270m (3회의 측정의 평균값) C 53.273m (6회의 측정의 평균값), B는 A의 3배 신용도가 있도, C는 A의 배 신용도가 있다. 1, 3, 6을 측정값의 무게라 하고, 그것의 평균은 M 53.280×1 + 53.270×3 + 53.278×6/ 1 + 3
유광층에 대비되는 용어로서, 빛이 도달하지 않는 수층을 말한다. 무광층에서는 광합성을 할 수 없으므로 식물의 성장이 불가능하며, 탁도에 따라 무광층의 깊이가 다르고, 연안에서는 수 m의 수심부터, 외양에서는 수백m의 수심부터가 무광층이다.
철근 등을 넣지 않고 무근 콘크리트로 만든 구조.
무근 이외의 보강재를 사용하지 않는 아치.
철근이나 철골 등으로 보강하지 않은 콘크리트. 단, 콘크리트의 수축 균열이나 기타에만 대비하여 일부분에 강재(鋼材)를 사용한 것도 무근 콘크리트라 한다.
강재로서 보강하지 않는 콘크리트를 무근 콘크리트라 한다. 단 콘크리트의 수축 균열이나 그밖에 주의하기 위해서 강재를 이용한 것은 무근 콘크리트로 취급한다.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에서는 일반적으로 균열 발생의 방지를 위해 3kg/㎡를 표준으로 철망을 이용한 무근 콘크리트가 쓰인다.
탄소를 주체로 하는 화합물을 유기무리라 하고, 그 밖의 것을 무기물이라 한다. 무기물을 토목 재료로 사용한 것을 무기 재료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