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파제나 호안에 대한 물결의 높이이다. 일반적으로 바다 밑의 경사나, 둑의 경사, 또한 둑의 수심등으로 정해진다.
물결은 바람에 의해서 직접 일어나는 것과 멀리 해상의 풍역에 발생하는 물결이 전해서 오는 경우도 있다. 후자의 물결을 물결침이라 한다. 주기가 긴 것이 특징이다. 전자를 풍랑이라 한다.
하천, 바다나 호수, 늪에서 수심이 가장 깊은 곳을 연결한 것. 선박의 운항에 적합한 수로. 항내에서는 항로가된다.
throating
투수성이 높은 화산 회질토나 사질토의 물논(水田) 지반의 투수성을 저하시켜 용수 절약과 수온. 지온의 상승에 의한 증수를 꾀하기 위해 행하는 개량법. [종류와 개량법] [1] 표토법 : 논 표면으로부터 직접 다지는 방법으로, 지표면 아래 20 ~ 30cm 층의 다짐을 목적으로 한다. [2] 심토법 : 표토를 일시적으로 20 ~ 25cm 제거하고, 심토면을 다진 후 표토를 복원한다. [3] 객토 병용법 : 표토와 심토 사이에 외부로부터 점질토를 반
흙에 살수하여 포화시켜서 겉보기의 점착력을 없앤 다음 물끊기를 함으로서 다짐을 하는 공법. 모래에 대하여 유효하다.
모래 등의 조립토를 써서 흙쌓기나 되메우기를 할 때 물을 뿌리면서 다지는 것.
물을 흘려 넣으면서 토사를 다지는 방법. 일반적으로 사질토에 유효하다. 느슨한 모래층을 물로 굴착하고 모래를 지상으로부터 보급하여 모래 기둥을 만들어 지반 개량을 하는 수가 있다.
어스 댐의 재료 운반 또는 축조를 모두 수류에 의하여 행하는 댐. 토사를 물과 섞어서 파이프로서 댐 사이트에 운반하고 사면을 따라 중앙부에 유입시키면 외부에 입경이 큰 것이 중앙부에 미립 점토가 침전하여 자연적으로 심벽이 형성된다.
머캐덤의 틈메움 공법의 하나. 주골재 사이의 간극에 부순돌 부스러기(지름 20mm 이하)를 물로 유입하면서 전압(轉壓)하여 주골재를 결합시키며, 취후로 지름 5 ~ 13mm의 부순돌을 살포하여 마감 전압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