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38/1604)

열조법으로 대별하면 다음과 같다. 1) 가접강관 및 전기용접강관 : 안지름이 Φ13∼75mm의 적은 경관 2) 이음이 없는 강관, 일명 인발강관 : 안지름이 Φ100∼300mm, 3) 아아크용접강관 : 안지름이 Φ350이상 최대 2700mm까지의 것 steel pipe
토목이나 건축등의 구조물에 기초로 쓰이는 강관말뚝은 JIS A 5535에 의해서 제조하지 않으면 안된다. 단면의 치수에 대해서도 JIS A 5535에 정해져 있다.
연속해서 강관을 박고 상부를 현장 콘크리트로 연결한 양식의 방파제. 경량이기 때문에 연약 지반 등에 적합하나 기초부의 세굴(洗堀)에 문제가 있어 파랑이 큰 경우는 적합하지 않다.
1) 높이 2m 정도마다 수평연결을 2방향으로 설치하고, 또한 수평연결의 변위를 방지한다. 2) 보 또는 슬리퍼(sleeper)를 상단에 실을 때는 그 상단에 강제의 끝널빤지를 붙여 이것을 보 또는 슬리퍼에 고정시킨다.
강관은 주철관 보다 부식하기 쉽고 더구나 관의 두께가 얇으므로 부식에 대한 영향이 크므로 방식도장이 특히 중요하다. 실용적인 도장방법으로는 아스팔트도장과 코울타르 에나멜(coal tar enamenl) 도장 및 모르타르 라이닝(mortar lining)이 있다.
1) 강관테를 서로 교차시켜 뼈대를 만든다. 2) 최상층 및 5층 이하마다 수평으로 연결하고 한편 수평연결의 변위를 방지한다. 3) 최상층 및 5층 이하마다 테방향의 양끝 및 5테 이내마다 천테를 설치한다. 4) 보 또는 마루판 받침 상단에 얹을 때는 그 상단에 강제의 끝판을 붙여 이것을 보 또는 마루판 받침에 고정시킨다.
정련된 용강을 주형에 주입하여 원형이나 4각 단면의 기둥으로 만든 것. 다시 성형되어 강재로 된다.
주요 재료로 강철을 사용한 교량.
암반 등의 보링에서 틸트 숏이라는 작은 알갱이의 강구를 회전 비트의 선단에 물과 함께 보내어 절삭하는 형식의 것.
구조상 주요한 부분에 형강. 강판. 강관 등의 강재를 사용한 부재를 써서 구성된 구조.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