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진동에 있어서 그 진폭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는 것. [2] 탄송파의 진폭이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서 감소하는 것.
구조물이나 지반은 재료 내부에서의 마찰이나 변형 이력 등이 원인으로 동적인 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면 진동이 감소해가는 성질을 갖는다. 이 감쇠량의 크기를 규정하는 상수. 그 값은 지반의 동적 해석에 쓰인다.
손실이 있는 계(系)에서 에너지 감소의 속도를 나타내는 수치. 감쇠가 Ae (A : 상수, t : 시간)의 모양으로 나타내어질 때의 1/k를 말한다. - damped vibration, damped oscillation
급속사(急速砂) 여과의 변법 중 하나. 일정 수위를 유지하며 여과시킬 때 여과층의 막힘에 의해 여과 저항이 증가하여 여과 속도가 감소하지만 여과 속도의 조정을 하지 않고 그대로 여과를 계속 하는 방법. 유량 조절기가 불필요하며 여과된 수질도 양호하지만 수량을 확보하는 데에 문제가 있다.
물체에 복원력(평형 위치로 되돌아가려는 힘)과 감쇠력이 작용하여 진동하고 있는 상태를 감쇠 진동이라 하며, 진폭은 시간과 더불어 작아져 간다. 감쇠력은 속도에 비례하는 점성 저항 등이 일반적이다.
파랑이 풍역으로부터 떨어져 감쇠하면서 진행하는 거리를 말한다.
시멘트의 입자를 분산시키므로서 콘크리트에 소요되는 워커빌리티를 얻기 위해서 필요한 단위 수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혼합제를 말한다. 감수제로서는 각종의 계면활성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토목학회의 감수제규격에 합격한 것이라야 한다.
혼화제의 일종으로, 시멘트의 분말을 분산시켜서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얻기에 필요한 단위수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 재료
콘크리트 혼합제의 일종. 콘크리트의 소정의 워커빌리티를 얻는 데 필요한 단위 수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AE제가 부속되어 있다. 감수제의 사용에 따라 이것을 쓰지 않은 콘크리트에 비하여 단위 수량을 10 ~ 20% 정도 감소시킬 수 있다. 감수 효과는 시멘트 입자의 분산 작용 결과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시맨트 분산제라고도 한다.
콘크리트 혼합제의 일종. 비비는 동안에 시멘트 입자를 대전시켜 각 입자를 분산시키는 표면 활성제로, 유효 수화 면적의 증가, 수량의 감소, 워커빌리티의 개선, 내수성의 개선 등이 효과가 있다. 고강도화. 유동화를 목적으로 한 고성능 감수제도 있다. - admix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