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39/1604)

평균 유속 공식으로 셰지 공식.
흙을 쓰지 않고 돌로만 쌓은 담
relative stiffness, stiffness factor
부재의 중립축에 관한 단면 2차 모멘트 I를 부재의 길이 l로 나눈 값. 강도를 K로 하면 KI/l 또 표준으로 하는 부재의 강도를 표준 강도라 하고, 임의의 값을 취할 수 있다. 어떤 부재의 강도 K와 표준 강도 Ko의 비를 그 재의 강비(剛比)라 하고, 이것을 k로 하면 kK/Ko 부정정(不整定) 라멘의 재(材) 응력은 재의 강비에 따라 변화한다.
골조 부재의 중립축에 관한 단면 2차 모멘트 I를, 부재 길이 l로 나눈 값 K. 휨에 대한 저항의 수치로 라멘 구조물 해법에서 휨 각법의 계산식에 이용된다.
방사선, 스팩트럼선의 강도, 전류의 강도, 압력의 강도, 재료의 강도(인장 또는 압축 등에 의해 파단할 때의 힘) 등. 이 밖에 단위 지적당의 지반의 세기.
구조 부재나 재료가 외력에 대하여 견딜 수 있는 최대의 저항력. 하나의 부재라도 저항의 방법에 대응하여 휨 강도나 전단 강도 등 복수의 강도가 생각된다. strength
흙의 전단 강도 τf를 전단면상의 직응력 σ와 관계 없는 점착 저항(점착력 : c)과 직응력에 비례하는 마찰 저항(내부 마찰각 : ψ)의 두 성분으로 나누어 τfc+σtanφ로 나타낸 경우의 c 및 φ를 말한다. 이들의 강도 상수는 전단 시험시의 공시체(供詩體)의 배수 조건에 따라 다르며, 대상으로 하는 토질 및 목적에 따라 구분 사용된다.
종국 강도형의 설계법에서 사용되는 부재 강도를 저감하는 계수. 재료 강도나 부재 치수의 불균일, 설계식의 신뢰성 등을 고려한 안전 계수.
내진 설계의 해설 용어. 탄성한 강도(彈性限强度)를 크게 하여 소성 변형 능력에 의한 에너지 흡수에 그다지 기대할 수 없는 형식의 내진 설계 또는 그 건물. 강한 내력벽이나 브레이스가 붙은 뼈대 등이 주로 저항하는 타입의 것이다. 점성 저항형과 대비하여 쓰인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