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정 구조물로, 힘의 평형 조건만으로는 부재의 응력을 구할 수 없는 구조물. 외적 부정정 구조의 대비어. 부재를 제거하거나 혹은 절점의 결합력을 작게하는 접합으로 바꿈으로써 정정 구조물로 바꿀 수 있다.
지진에 견디는 것. 지진에 의하여 손상을 받기 힘든 구조물은 내진성이 크다고 한다.
지진의 파괴 작용에 의해서 진해(震害)를 받지 않도록 설계된 구조를 말한다. (2) 지진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구조. 내진 구조에는 유구조(柔構造)와 강구조(剛構造)의 두 방식이 있다. earthquake proofing construction
지진에 대하여 충분히 저항할 수 있도록 시공된 구조물 또는 건축물. 또는 그와 같이 하는 방법, 구조.
내진 설계법 및 내진 공법을 규정한 것.
구조물을 지진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 seismic design
구조 설계의 주요한 분야로, 지진 하중에 대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인하는 작업을 말한다. 상정하는 지진동의 강도와 그 때에 허용할 수 있는 피해 정도에 따라 차가있다. 중지진에 대해서는 탄성 허용 응력도법이 쓰이고, 대지진에 대해서는 보유 수평 내력의 검정이 이루어진다. 지진 하중의 결정에는 정적 진도법. 수정 진도법. 응답 변위법. 동적 응답법 등이 쓰이고 있다.
내진 진단 기준에서 기준 구조물의 내진성을 나타내는 지표. 철근 콘크리트 구조인 경우에는 구조 내진 지표와 비구조재 내진 지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