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물에 외력이 작용했을 때 그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가 크게 변화하지 않고 안정해 있는 것.
트러스를 구성하는 부재가, 모두 삼각형의 1 변으로 되어 있어, 힘의 평형 3조건으로 부재의 응력을 구할 수 있는 것.
KS F 8004 콘크리트의 봉형 진동기를 규정한 것으로서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 진동 막대를 넣어서 단단하게 다지는 것이다. 내부 진동기는 되도록 연직으로 같은 간격(60cm이하)으로 넣고, 뺄 때는 서서히 빼는데 뺀 다음에는 구멍이 없어야 한다.
바닷물의 밀도가 상하로 급변하는 약층에서 파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파를 말한다. 내부파는 수심 50~100m층에 있는 밀도의 물연속면에서 일어나며, 해면에서 일어나는 심해파와 대비되는 용어이다. 내부파의 속도와 파장은 심해파보다 작지만 진폭은 매우 크며, 약층 부근에서는 100m 가까운 해수의 상하운동이 일어난다.
내부파는 해류 및 밀도 수직구조의 규칙적인 변이에 의해 스스로 나타나며, 이러한 운동은 수온의 수직분포에서 등온선의 주기적인 승강운동으로 알 수 있다. 그리고 조석력에 의해 생기는 내부파를 내부조석이라 한다.
(생체의 항상성·생식·발생·행동 등에 간여하는 각종 호르몬을 생산하고 방출하는 기관)에 작용하여 각종 생체호르몬의 합성·분비·생체내수송·호르몬 작용 등 정상적 활동을 방해하는 외인성 화학물질로써, 쉽게 분해되지 않으며 환경과 생명체에 잔존하여 영향을 미친다. 내분비계장애물질의 종류에는 다이옥신·PCB·TBT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환경호르몬이라 하면 내분비계장애물질을 말한다.
자기 위치를 인식하는 것.
얼음 압력, 유빙(流氷)의 충돌 등에 구조 강도로 저항하는, 혹은 형상으로 외력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구조. ice-resistant structure
주성분에 물 유리를 사용한 것이나 합성 수지를 사용한 것 등.
산에 대하여 저항성이 큰 시멘트. 무기질시멘트로서는 규석이 나 도자기의 분말과 물 유리의 혼합물이나 산화 글리세린으로 비빈 것으로, 유황의 융용물 등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유기 시멘트에서는 합성수지류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