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반의 세기를 지배하는 상수. 한 몸으로 된 흙덩어리 속의 흙과 흙 사이의 마찰각. 내부 마찰각은 다져진 흙일수록 크고, 순수한 찰흙에서 0°, 느슨한 모래에서 30 ~ 40°, 다져진 모래에서 40 ~ 45°정도이다.
흙과 같은 입상(粒狀)체가 파괴될 때에는 파괴면상의 수직 응력 σ와 전단응력 τ는 그림과 같은 직선 관계가 되며, 쿨롬의 파괴 기준 τ c + σ·tan φ에 따른다. 그림에서 이 직선이 수평축과 이루는 각을 내부 마찰각이라 하며 ψ라 표시한다. 내부 마찰각은 전단 저항각이라고도 한다. 이는 점착력과 함께 강도 상수의 하나이며 토압, 지지력, 경사면 안정 등의 계산에 필요한 값이다. 내부 마찰각은 그것을 구하는 시험 방법, 예를 들면 배수 시험인가,
물질이 정지하고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을 때 보유하고 있는 에너지. 구성하고 있는 분자가 갖는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지의 합계.
진돌계를 구성하는 골조 자체가 갖는 고체 점성에 의한 감쇠로, 진동계 주변의 유체의 점성 저항에 의한 외부 점성 감쇠와 구별해서 부른다. 급속하게 힘을 가했을 때 그 변형 속도가 빠를수록 커지는 내부 저항력에 의한 감쇠를 가리킨다.
사진 측량에서 기계 도화(圖化)를 할 때 원판을 투영기 내부에 정확하게(촬영 카메라와 화면과의 관계가 투영기와 원판과의 사이에서도 유지되도록) 부착하는 것. 주점의 위치와 화면 거리를 내부 정위의 요소라 한다.
vibrator
어스 댐이나 록필 댐의 제체(堤體) 내부에 만드는 불투수성의 벽. 중앙 차수벽형, 경사 차수벽형이 있다.
콘크리트 단면내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내부 구속작용에 의한 응력
흙안의 전단 파괴면에 작용하는 수직응력과 전단저항에 대한 크기의 관계를 나타내면 그림과 같은 직선관계를 얻게 되는데 이 직선과 가로 축과 이루는 각 Φ를 흙의 내부 마찰각이라 한다.
트러스에 있어서 평형의 3조건과 변형의 조건, 이 양 조건으로부터 부재의 응력을 구할 수 있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