쇄파의 波壓을 나타내는 공식이다. P 1.5ωH(t/㎡)(H : 둑 앞쪽의 파고, ω : 물의 단위무게, 이 압력은 직립벽의 앞면에 똑같이 작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 공식에 의해 설계된 많은 방파제는 안정하게 유지되고 있다.
제방의 정부가 어느 길이를 가지고 그 위로 흐름의 지배단면이 나타나게 되어 있는 언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장방형의 단면이 많이 이용된다. 유량의 공식은 다른 언분과는 달라 특정한 형상에 대한 많은 실험에 의해서 구하는 것이 적절하다.
투명한 비결정질의 균질 투명체가 응력을 받으면 일시적으로 결정질의 성질을 띠게 되어 복굴절성을 보여주는 것을 말한다. 수지막형에 편관을 투사하여 구조물의 응력 상태를 조사하기 위해 이 성질을 이용한다.
광파(강도 변조광)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기계. 목표 측점에 프리즘 반사경을 두고 발사광과 반사광의 위상 편차를 측정하여 거리를 전자적으로 산출하여 표시한다. 거리계의 정밀도는 [1] 변조광의 발진 정밀도, [2] 위상차의 측정 정밀도, [3] 광속도의 결정 정밀도 등에 따라 좌우된다. 광파 거리계는 적외 발광 다이오드,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발전에 의해 소형 경량화되고 조작도 간편하고 신속화되었으며, 또한 가격도 저렴해져 기준점 측량으로부터
소형의 광파 거리계를 조립한 앨리데이드. 고도각 센서를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수평 거리, 고저차, 사거리(斜距離)를 표시하는 일이나 축척 계산 등을 할 수 있다. - alidade
실체 사진을 실체시(實體視)할 때 빛에 의해 생기는 입체상, 또한 사진 측량의 도화기에 있어서 광학적 투영을 중합하여 지형 등을 공간에 입체적으로 재현하는 실체 모형이다.
트랜싯을 이용함으로써 추를 사용하지 않고 기기를 정확하게 측점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 옵티컬 플럼 또는 옵티컬 플러미트(optical plummet)라고 한다.
줄자나 체인을 사용하는 직접 거리 측량에 대하여 트랜싯과 같은 광학적 기계를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거리를 측정하는 것.
광심(光心) 단(單) 렌즈에 있어서 서로 평행한 입사 광선과 통과 광선이 통과하는 축상의 일정한 점.
녹색식물이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하며, 녹색식물은 광합성으로 얻어진 유기물의 화학에너지를 생장 등에 사용한다. 녹색식물은 잎의 엽록체 안에서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공기중의 이산화탄소와 뿌리에서 흡수한 물로 탄수화물을 만들며, 이 때 산소를 생성한다. 광합성의 반응식은 6CO2+6H2O+674,000cal ⇔ C6H12O6+6O2. 이다.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조건은 빛·온도·이산화탄소농도이며, 빛의 세기와 더불어 파장도 광합성과 관련있다. 400~750㎛범위의 가시광선만이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며, 가장 효율적이고 좋은 것은 적색부로서 파장 640~680㎛ 부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