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도의 경우는 개수로의 등류 또는 부등류가 된다. 관거의 용량을 쿠터공식이나 매닝공식으로 평균유속을 구해서 여기에 단면적을 곱하므로서 얻을 수 있다. 최대 유량의 20%를 더 증가해야 한다.
도수거에는 분기점이나 합류점 혹은 관로가 변화하는 곳에 접합정을 만든다. 접합정에는 가급적이면 배수관, 여수토, 양수장치를 설치한다.
관거에는 공장에서 제작한 기성제의 관거와 현장에서 타설하는 관거가 있다. 그 어느 시공에 있어서도 소정의 위치, 경사선형, 연장, 품질, 형장과 치수, 접합, 강도등이 확보되어 원활하고 안전하게 하수할 수 있게끔 기능을 유지하도록 포설한다.
관의 경사는 관내에 각종의 부유물을 침전시키지 않을 정도의 최소유속 혹은 하수에 함유되는 토사에 의해서 관내를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의 유속이 되도록 경사지을 필요가 있고 매설물의 관계와 지형까지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최근의 데이터베이스 기술의 중심이 되는 기술로, 데이터를 2차원의 표형식으로, 행은 레코드, 열은 필드로서 다루어진다. 복잡한 데이터나 회사 조직에 관련하는 각종 정보를 표현하는 경우는 복수의 표가 필요하게 된다. 데이터의 중복 회피나 효율적인 검색을 실행함에 있어서 사전의 데이터베이스 설계가 중요하다. SQL 등의 표조작 언어에 의해 많은 표중에서 특정한 조건에 맞는 것을 선택한다든지, 복수의 표를 하나의 표로 만든다든지 한다. RDB
국가, 지방 자치체 등이 발주하는 공사.
관내에 관의 단면적보다 작은 박판 형태의 동심원 오리피스를 만든 것. 오리피스 전후의 압력차를 측정함으로써 관내의 유량을 구하는 것이다. 축소부에 칼날을 붙인 것을 관내 노즐이라 하며, 마찬가지로 유량 측정에 이용된다.
우수 유출 계수의 증대, 피크 유량의 증가에 대처하기 위해 우수를 배제하는 관거에 저류 기능을 갖게 하여 피크 컷을 하는 것. 합류식 하수도에서는 초기 유출 우수의 월류(越流) 대책으로서 관내 저류에 의해 질적 피크 익을 하고 있는 예도 있다. - combined sewer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