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면 (背面)의 토압 (土壓) 영향을 받지 않도록 축조된 교대. 아치교에서는 교각과 같이 축조되며, 그 상부에 작용하는 아치의 수평 반력에 저항한다. buried pier
교량의 교각과 똑같은 압기 케이슨.
서로 떨어져 있는 상태에 있는 퇴적물의 입자 또는 광물이, 그것들 사이에 침전한 광물성분에 의해서 교착되는 작용을 말한다. 속성작용 중의 한 과정이다. 보통 볼 수 있는 교결물질은 탄산석회·규산·산화철 등으로, 이들 물질은 쇄설물과 함께 퇴적하거나 순환수에 녹아서 퇴적물 안에 운반된다.
계통 제어 방식의 도로 교통 신호의 일종으로, 하나의 도로에 따른 신호가 교대로 반대의 표시를 나타내도록 하는 방식.
교량의 하부 구조로서 교량의 양단에 설치되며, 상부 구조로부터의 하중을 하방의 지반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뒷면에 작용하는 토압을 받아 내는 구조물. 하천을 가로지른는 다리, 기타 장애물을 넘는 다리에 대해서 각각의 관리자와 충분한 협의를 거침과 동시에 지반조사를 하며 위치, 구조, 형식, 길이 등을 결정한다. 교대의 종류에는 중력식 교대, 반중력식 교대, 역T자형 교대, 부벽식 교대, 라멘식 교대, 특수 교대 등이 있다.
하천, 계곡, 해협, 호소 혹은 교통로(도로, 철도, 운하) 등을 가로 질러 그 아래에 공간을 남겨서 건설된 실용적 도로 및 이것을 받치는 구조물의 총칭이다. 다리는 교대, 교각 및 이들의 기초를 총칭하는 하부구조와 그것에 의하여 받쳐지는 보, 홈, 다리바닥 등을 총칭하는 상부구조로 구성된다. 나무 다리는 대게 가교로서 이용되고, 강철 또는 콘크리트의 다리를 영구교라고 한다.
교통로, 수로(水路)등이 하천, 계곡, 움푹 꺼진 땅, 그 밖에 이들 통로의 기능을 저해하는 것에 직면했을 경우 이것을 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각종 구조물.
교량을 구성하는 일부이며, 다리 위를 통과하는 하중을 직접 지지하여 그 영향을 메인 구조에 전달하는 부분.
트럭 새시(chassis)에 유압식 곤돌라 또는 리프터를 부착하여 이것을 점검원이 타고 교량 하부의 점검 등을 실시하는 기계. 형식으로서는 점검원이 곤돌라를 타고 직접 관찰하는 전선회 유압 굴신식(全旋回屈伸式), 점검원이 보랑(步廊) 위를 걸어 육안 점검하는 보랑식 등이 있다. 또한 붐 선단에 부착된 텔레비전 카메라를 통해 점검을 함과 동시에 VTR로 기록까지 할 수 있는 모니터식도 있다.
레일을 부설한 거더 위에 부착하는 침목. 보통 침목에 비하여 두께. 넓이. 길이 등 모든 치수가 크다.